본문 바로가기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풍속 (24절기)

풍속 (24절기)

어른들이 날씨에 대해서 말씀하시거나 혹은 뉴스를 볼때 '하지가 지났으니 여름 더위가 시작되겠다'는 등의 절기를 이용해 날씨를 표현하는 거 많이 들어보셨죠?

 

생각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풍속 (24절기)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 같아서 오늘은 풍속, 그중에서도 24절기에 대해서 포스팅하려 합니다.

 

물론, 이 역시도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 과목인 관광자원해설에 포함되니 집중하고 보시기 바랍니다~

 

 

풍속 (24절기)

 

 풍속이란?

풍속이란 옛날부터 그 사회에 전해 오는, 생활 전반에 걸친 생활 습관이나 세태를 의미하는 말로 옷차림, 음식, 집의 구조 등 의식주와 관련된 것을 포함하여 놀이, 의식과 같은 생활 모습들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 밖에도 명절계절, 그리고 절기에 따라 행해지는 행사들도 풍속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24절기?

24절기란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준으로 15℃ 간격으로 점을 찍어 24개로 나눈 시간적인 구분을 말합니다.

 

 

절기 

일자

내용

주요 세시풍속

입춘

2월 4일 or 5일 

봄의 시작

설빔, 차례, 성묘, 세배, 복조리, 횡수막이, 쥐불놀이, 토정비결보기, 널뛰기, 윷놀이, 연날리기, 오곡밥 먹기, 달불이, 부럼 깨물기, 귀밝이술, 더위 팔기, 줄다리기, 석전, 답교, 수서 

우수

2월 18일 or 19일

봄비가 내리고 식물의 싹이 트는 징조가 있음

경칩

3월 5일 or 6일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깸

영등할머니, 볏가릿대 허물기, 머슴날, 콩볶기, 좀생이 보기 

춘분

3월 20일 or 21일

밤낮의 길이가 같고 앞으로 낮의 길이가 길어짐

청명

4월 4일 or 5일

초목이 일제히 싹을 틔움, 불농사 준비를 해야 할 시기

한식 묘제, 삼짇날, 화전놀이, 장담그기

곡우

4월 20일 or 21일

농사비가 내리는데 이때의 비가 곡물농사의 기초가 됨

입하

5월 5일 or 6일

여름의 시작

초파일, 연등, 등띄우기, 줄불놀이 

소만

5월 21일 or 22일

본격적인 농사의 시작 시점

망종

6월 5일 or 6일

보리를 비롯한 봄농사의 수확시기

단오, 단오부채, 쑥호랑이, 단오치장, 창포, 그네뛰기, 씨름, 봉숭아물 들이기

하지

6월 21일 or 22일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로 화기가 극히 성하고 태양의 양기는 극에 달함

소서

7월 7일 or 8일

여름 더위의 시작

유두천시, 삼복, 천렵 

대서

7월 22일 or 23일

더위가 최고로 심함

입추

8월 7일 or 8일

가을이 시작

칠석고사, 백중날, 백중놀이, 호미씻이, 두레길쌈

처서

8월 23일 or 24일

더위가 가고 일교차 커짐

백로

9월 7일 or 8일

가을이 뚜렷하고 이슬이 내리기 시작

벌초, 추석차례, 거북놀이, 강강술래

추분

9월 23일 or 24일

천지음양 화합의 중화점, 밤낮의 길이가 같아짐

한로

10월 8일 or 9일

찬이슬이 내리기 시작하고 백곡을 수확함

중양절, 중양제사 

상강

10월 23일 or 24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입동

11월 7일 or 8일

겨울의 시작

말날, 시제, 성주고사 

소설

11월 22일 or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

대설

12월 7일 or 8일

한기는 점차 강해지고 큰 눈이 옴

동지, 동지고사, 동지차례, 팥죽먹기 

동지

12월 21일 or 22일

음기는 극에 달하고 낮이 가장 짧음

소한

1월 5일 or 6일

겨울중 가장 추움

납일, 제석, 묵은세배, 나례, 수세 

대한

1월 20일 or 21일

겨울 추위의 매듭을 지음

 

 

오늘은 풍속 (24절기)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춘분, 하지, 추분, 동지 정도는 자주 들어봤는데, 못들어본 절기명이 많다면 공부 하셔야 합니다. ㅎㅎ 저는 어려서부터 텃밭가꾸기에 관심이 많았어서 자주 다니다보니 주위 어르신들과 친해져 절기에 나름 익숙한 편이었는데, 생각보다 우리 현대인들중 동지 하면 그게 언젠지 모르고, 심지어 입춘, 입추 몇 월이지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일단, 시험공부를 하시면서는 24절기 모두 암기하셔야 하구요, 일자내용까지도 대략 꿰고 있으셔야 합니다. 주요 세시풍속은 모두 암기하시기 보다는 여러번 보시면서 눈에 익혀두세요~ 보기로 나왔을때 골라낼 수 있을 정도? 그정도면 됩니다. 일자까지 다 외우기 힘드실 수 있지만,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되는게, 15일정도 간격으로 절기가 바뀐다고 계산하시면서 외우면 훨씬 수월하게 외우실 수 있으실 겁니다.

 

예전에 24절기가 면접문제로도 나왔다는 이야기가 있으니, 꼭 꼭 외우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사실 외운다는 표현도 좀 쑥스러운거지만요 ㅎㅎ

 

저는 그럼 다음에 또 유익한 내용으로 돌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