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천연보호구역
천연보호구역이란?
보호할만한 천연기념물이 풍부하거나 다양한 지질학적 과정, 생물학적 진화과정 및 문화적, 역사적, 경관적 특징을 가진 대표적인 구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지정한 곳을 말합니다.
주요 지역으로는 홍도, 한라산, 설악산, 대암산·대우산, 향로봉·건봉산, 문섬·범섬, 마라도, 독도, 성산 일출봉, 차귀도, 우포늪 등이 있습니다.
홍도(천연기념물 제170호)
위치 :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에 있는 면적 5,867,640㎡의 천연보호구역
특징 : 해식작용으로 생긴 해식에 기둥바위, 원숭이바위, 탑바위, 톡립문바위 문바위섬, 구멍바위 등 다양한 해식지형이 있습니다. 풍란, 무엽란, 나도풍란, 석곡풍란, 새우난 등 많은 난과 식물과 홍도원추리, 홍도까치수염, 백랑금, 섬모시풀, 흰동백, 식나무, 누운향나무, 덩굴사철 등의 희귀식물이 자라고 있습니다. 또한 흑비둘기, 염주비들기 등의 휘귀종 조류와 남색남방공작나비 등 휘귀종 곤충이 231종 서식하고 있습니다.
한라산(천연기념물 제182호)
위치 : 제주도 한라산 일월의 면적 91,874,318㎡의 천연보호구역
특징 : 한라산을 중심으로 하는 해발 600~1,300m 이상의 구역을 비롯하여, 일부 계곡 및 특수 식물상을 보유하고 잇는 몇 개의 지역을 포함합니다. 고도에 따라 난대, 온대, 한대 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모주둥이 노란재, 제주 앙코스커 딱정벌레, 제주풍뎅이, 제주 은주동이벌, 참뒤영벌 등의 특산종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설악산(천연기념물 제171호)
위치 : 강원도 속초시, 인제군, 양양군 등에 걸쳐 있는 면적 173,744,122㎡의 천연보호구역
특징 : 멸종위기에 처하여 있는 크낙새, 사향노루, 산양, 까막딱따구리, 하늘다람쥐 등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바람꽃, 꽃쥐손이, 대서호 등으로 구성된 고산식물이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금강초롱, 금낭화, 설악조팝나무, 찰피나무, 큰 꽃긴 잎 여로, 세잎종덩굴, 에델바이스, 눈잣나무 등의 특산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대암산·대우산(천연기념물 제246호)
위치 : 강원도 양구군과 인제군에 걸쳐있는 면적 30,743,940㎡의 천연보호구역
특징 : 편마암을 기반암으로 하고 있는 봉우리들과 펀치볼지역의 지질적조성, 대암산 정상부 일대의 소택(늪과 못)형성 등은 우리나라 유일한 지형적 특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식물의 남북한계·동서구분 현상이 나타나기에 생태학·식물지리학·식물분류학적인 연구가치가 큰 곳입니다. 삿갓사초, 진퍼리새 군락, 산새풀, 골풀 등의 습지식물과 습지 주변에 기생꽃, 금가오롱, 복숭아나방붙이, 호랑나비 등 252종의 식물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건봉산·향로봉(천연기념물 제247호)
위치 : 강원도 인제군 고성관에 걸쳐있는 면적 83,306,160㎡의 천연보호구역
특징 : 금강초롱과 갈잎용담 등의 특산작물이 크게 군집하고 있으며, 체꽃, 꽃쥐손이, 산오이풀, 산부추, 노랑제비꽃, 구절초 등의 고산식물군집도 나타납니다. 동·식물 분포 상 금강산과 설악산의 중간지대로 중요성을 가지고 있고, 동서식물을 비교 연구하는데 적절한 곳입니다.
독도(천연기념물 제366호)
위치 : 경상북도 울릉도 울릉읍에 위차한 면적 187,554㎡의 천연보호구역
특징 : 동해의 가운데 위치해 있는 화산섬으로 화산활동으로 윤곽이 형성되었고, 아울러 나타난 해수면 변동과 파랑에 의한 침식과 퇴적작용, 풍화작용에 의해 현재의 다양한 지형들이 형성되었습니다. 독도는 지형의 형성원인과 식물의 씨앗을 전해줄 공급원이 멀고, 경사가 급하여 토양이 발달하지 못하고, 비는 내리지만 물 빠짐이 좋기 때문에 수분이 항상 부족하여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가 적습니다. 현재 독도에 서식하는 식물은 교목인 곰솔, 보리밥나무, 넓은 잎사철나무, 섬괴불나무 등의 관목, 개밀, 해국, 섬시호, 큰두루미꽃, 도깨비쇠고비, 왕김의털 등의 초본류가 자랍니다. 또한 대황, 감태, 미역 등 대형 갈조류를 포함하여 총 160여 종의 해조류와 연어병치, 조피볼락 등의 어류와 문어, 군소 등의 연체동물, 성계 등 극피동물, 갑각류 등 77종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성산일출봉(천연기념물 제420호)
위치 : 제주 서귀포시에 위치한 성산포 해안 일대 약 5,878,746㎡의 천연보호구역
특징 : 한라산 주변 자화선 360여 개 중 유일하게 바다에 위치하고 있으며, 182m에 달하는 함석층이 그대로 나타나 지질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녹조류 24종, 갈조류 37종, 홍조류 66종 등 한국의 해조상을 대표할 수 있는 총 127종의 해조류가 서식하고 있어서 한국 해조류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어 학술적으로도 중요성을 가집니다. 또한 제주분홍풀로 일컬어지는 신속·신종 홍조식물의 원산지이며, 제주나룻말이라 불리는 신종 홍조식물의 원산지이기도 합니다.
문섬·범섬(천연기념물 제421호)
위치 : 서귀포시 서귀동의 문섬과 법환동의 범섬 일대 지역으로 총면적 181,131㎡의 쳔연보호구역
특징 : 문섬에는 육상식물 118종이 생육하고 있으며, 그중에는 제주도에만 자생하는 보리밥나무와 큰보리장나무의 군락이 자라고 있고, 범섬에는 구실잣밤나무, 종가시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사철나무, 동백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림과 참억새를 중심으로 멍석딸기, 병풀, 아옥메풀, 잔대 등의 142종의 식물들이 자라고 있습니다. 문섬·범섬은 자연식생의 보존 실태가 가장 양호하고 풍부한 해산 생물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상절리의 지질 구조가 잘 발달해 있어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해산 동식물의 다양한 종 조성 및 한국산 신종·미기록 해산 동식물의 서식지가 되고 있습니다.
차귀도(천연기념물 제422호)
위치 :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 위치한 면적 155,861㎡의 천연보호구역
특징 : 죽도·지실이도·화단섬의 세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조대의 동식물상이 매우풍부하여 제주의 여러 섬 중에서도 빼어난 절경을 자랑합니다. 또한 차귀도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가장 아열대성이 강한 지역으로 수많은 미세홍조식물이 생육하고 있습니다. 그중에는 기는비단잘록이를 비롯한 신종식물과 어깃꼴거미줄, 나도참빗살잎, 각시헛오디풀 등의 한국 미기록종들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의 아열대지역에 서식하는 홍조류의 여러 종이 이곳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마라도(천연기념물 제423호)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대정읍 가파리에 위치한 총면적0.3㎢의 천연보호구역
특징 : 육상식물은 원식생이 모두 파괴되어 경작지나 초지로 변했으며, 섬 가운데 해송 조림지가 있을 뿐이지만 해산 동식물은 매우 풍부합니다.
우포늪(천연기념물 제524호)
위치 : 경남 창녕군 일대의 면적 3,438,056㎡의 천연보호구역으로 4개의 늪(우포늪, 목포늪, 사지포, 쪽지벌)으로 구성된 자연배후습지를 말합니다.
특징 : 국내 최대 규모의 자연내륙습지로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자연생태계의 보고이며, 가시연꽃, 생이가래, 부들, 줄, 골풀, 창포, 마름, 자라풀 등 168종의 식물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쇠물닭, 논병아리, 노랑부리저어새, 청둥오리, 쇠오리, 큰고니 등 62종의 조류와 뱀장어, 붕어, 잉어, 가물치, 피라미등 28종의 어류, 연못하루살이, 왕잠자리, 장구애비, 소금쟁이 등 55종의 곤충류 등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나라 천연보호구역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어떤 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지 보단, 위치를 기반으로 암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세부적으로 간략하게 서식하는 동식물에 대해서 알아두는 것도 좋긴 하겠지만, 양이 너무 많으니깐요.. ㅎㅎ 이름도 너무 어렵잖아요? 따라서, 간략하게라도 우리나라 천연보호구역의 위치정도는 꼭 알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또한, 우리나라 천연보호구역중 독도에 관해서는 조금 더 세부적으로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독도는 자주 출제되는 단골문제이기도 하고, 면접에서도 독도에 대한 질문이 자주 들어옵니다.
그럼 저는 다음에 또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속 (24절기) (0) | 2020.06.27 |
---|---|
안보관광자원 (0) | 2020.06.26 |
우리나라 주요 약수 (0) | 2020.06.24 |
우리나라 주요 온천의 분포와 특징 (0) | 2020.06.23 |
우리나라 온천의 특징 (0) | 2020.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