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슬로시티의 이해 2

슬로시티의 의해 2

 

 1999년 국제슬로시티운동이 출범된 이래 한국은 현재(2020년 6월)까지 총 16개의 슬로시티가 가입되어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 '슬로시티의 이해 1'에서는 전라북도, 전라남도, 충청북도, 충청남도에 있는 슬로시티를 포스팅 하였는데요, '슬로시티의 이해 2'에서는 경기도, 강원도, 경상북도, 경상남도에 있는 슬로시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슬로시티 가입현황 (20.6월 기준 총 16곳)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 슬로시티 :

경기도 수도권에서 최초로 지정된 조안 슬로시티는 '새가 편안히 깃든다'는 뜻을 가졌으며, 배산임수의 지형에 산세와 풍광이 좋고 공기가 좋아 이러한 지명을 가지게 되었다고 유래됩니다. 남양주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습이 공존하는 지역으로, 다산 정약용선생의 얼이 깃든 전통이 살아있는 지역, 운길사 자락이 비추어지는 팔당호와 북한강변이 수려한 자연경관, 풀짚공예와 나전칠기 및 삼봉 농약 등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 수공예와 문화가 살아있는 지역입니다.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 슬로시티 :

영월군은 수려한 자연경관은 물론, 어린 나이에 왕위를 뺏기고 죽임을 당한 비운의 왕 단종과 조선 후기 방랑 시인이자 천재 시인인 김삿갓의 발자취를 느낄 수 있는 지역입니다. 또한 천연기념물 제219호로 지정된 고씨동굴 및 김삿갓 유적지 등 청정한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영월은 박물관 규을 특구입니다. 핵심콘텐츠 지역인 김삿갓면에만 자그마치 8개의 박물관이 있습니다.

 

 

경북 상주시 함창·이안·공검 슬로시티 :

상주는 예로부터 삼백(三百)의 고장이라 하여 누에고치, 쌀, 곶감이 유명합니다. 함창 명주(비단) 고을은 전국에서 유일한 명주 생산지로, 아직도 100여 가구가 명주 제작의 맥을 이어가고 있으며, 명주짜기 장인인 허호 씨 부부가 생산하는 '허씨 비단'이 특산물로 유명합니다. '옹기마을'에는 150년 간 6대 째 전통 옹기 제작을 계승하고 있는 옹기 마에스트로 정대희 옹기장과 옹기 공예품도 있습니다.

 

 

경북 청송군 부동·파천 슬로시티 :

푸른 소나무가 많다는 데서 유래된 청송이라는 지명에서 볼 수 있듯, 청송은 남부지방에서 청정 지역의 대명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경관이 빼어난 주왕산국립공원은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관광지 100곳 중 다섯번째 명소입니다. 특히 주왕산에 있는 주산지에는 천연기념물 왕버들 20여 그루가 자생하고 있습니다.

 

 

경북 영양군 석보 슬로시티 :

영양의 매력 포인트는 장계향과 음식디미방입니다. 음식디미방은 여중군자 장계향이 400여년 전, 한글로 쓴 한국 최초의 조리서로 주류를 포함하여 146가지 음식 조리법이 실려 있습니다. 조선 중후반 양반가의 식생활과 문화를 짐작할 수 있는 전통 음식 연구의 지침서이자, 관계 전문가들의 교본이며, 정확하고 다양한 어법과 철자로 만들어져 사전적으로 큰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경남 김해시 봉화마을, 화포천습지 :

김해시는 청정한 자연 생태환경과 많은 전통문화 유산을 보유한 곳으로, 화포천 습지를 국가습지보호구역·국가생태관광구역으로 지정받아 연지공원과 해반천, 율하천 등의 생태환경 조성, 가야사 복원을 비롯하여 승선전 제례, 분청 도자기, 남명 조식, 가락 오광대 등의 역사문화의 전승과 보존에도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는 대표적인 도시형 슬로시티입니다.

 

 

경남 하동군 악양 슬로시티 :

하동군 악양면에는 차와 문학과 도시민들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3가지의 향기(다향, 문향, 도향)가 있습니다. 여기에 느림의 향기인 만향이 더 있습니다. 천 년을 지켜온 차나무와 이 차나무에 해마다 한다례를 지내는 하동 사람들, 산기슭에 숨어 있는 야생차밭은 1,200여 년 넘게 하동을 지켜오고 있습니다. 일부러 가꾸지 않은 야생차밭의 차는 임금도 탐냈다 하여 왕의 녹차라고 부릅니다. 하동은 소설 <토지>의 모습 그대로이며, 수 천 년을 두고 흐르는 섬진강은 마을을 더욱 여유롭게 보이게 합니다.  

 

 

슬로시티의 이해 1, 2 포스팅을 통해서 슬로시티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어 보았는데요, 현재까지 가입된 한국의 슬로시티 16곳을 외워야 하는 것은 물론, 각 슬로시티의 특색도 알고있어야 합니다. 슬로시티는 계속해서 추가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이 포스팅을 작성하는 날(2020년 6월)을 기준으로는 총 16개의 슬로시티가 가입되어 있지만, 스스로 계속해서 정보를 업데이트 해나가시기 바랍니다.

 

그럼 저는 다음에 또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