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관련 News

중국은 어딜가나 미운털, 바이든 캠프 중국 견제 압력 강화

중국은 어딜가나 미운털, 바이든 캠프 중국 견제 압력 강화

 

 

바이튼 캠프 EU에 중국과 투자협상 중단하라 압력

조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인 캠프가 유럽연합(EU)에 중국과의 투자 협상을 중단하라고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신장 위구르 등에서 행해지는 중국의 강제 노동을 중단시키지 못하면 협상에 반대한다는 의미입니다.

 

22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전날 늦게 바이든 당선인의 국가 안보 보좌관인 제이크 설리번은 EU와 중국간 협정을 언급하는 트윗으로 양국 문제에 끼여들었습니다. 그는 "중국의 경제 관행에 대한 우리의 공통된 우려에 대해 유럽 파트너들과 우리가 먼저 협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중국과 EU는 현재 포괄적투자협정(CAI)의 타결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강제노동 금지 규약 등 국제노동기구(ILO)의 기준을 준수하겠다는 내용이 미흡해 이에 대한 지적과 비판이 안팎에서 쏟아지고 있는데, 급기야 바이든 캠프에서도 이를 지적한 것입니다.

 

EU와 중국은 2014년부터 투자협정 체결을 목표로 협상해왔습니다. 양측은 올해 말까지로 협상 시한을 정했지만 중국이 강제 노동 금지 요구에도 굽히지 않을 경우 난항을 겪을 수 있습니다.

 

유럽 의회는 지난 17일 중국의 신장 위구르의 강제노동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며 투자 협정 논의에 압박을 가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신장에서는 강제노동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이런 요구가 중국의 상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라고 주장했습니다.

 

중국 신장지역의 위구르족 강제노동 수용소. 중국측은 재교육 캠프라 주장하는 건물

 

 

 

캐나다, 금광 인수하려던 中기업 퇴짜

캐나다가 국가안보를 이유로 중국 기업의 북극권 금광 인수를 거부했습니다 .22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중국 산둥성 지방정부가 소유한 중국 국영회사 산둥황금은 캐나다 당국으로부터 자국 금광업체 티맥 리소스의 인수를 불허한다는 통지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티맥은 북극권 한계선에서 북쪽으로 약 193km 떨어진 누나부트 지역에 도리스 광산을 운영하고 있는 금광업체입니다. 누나부트 지역은 천연광물이 풍부하고 새로운 항로를 개척할 수 있어 전략적 요충지로 여겨집니다.

 

중국의 왕이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오른쪽)

필립 상파뉴 캐나다 외무장관(왼쪽)

 

 

지난 5월 산둥황금이 티맥을 2억3000만 캐나다달러(한화 약 1977억원)에 인수하겠다고 나서자 캐나다에서는 야권을 중심으로 전략적 요충지인 누나부트를 중국 국영회사에 넘기는 것이 우려스럽단 의견을 제기해왔습니다.

 

이에 캐나다 정부는 지난 10월부터 국가안보 영향 검토에 나섰습니다. 캐나다는 중국 기업의 인수 시도가 자국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결론지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