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통사가 알아야 할 우리나라 민속놀이
관광통역안내사 필기시험이 이젠 얼마 남지 않았는데요, 필기시험에 '우리나라 민속놀이, 지역별로 이어져 오는 민속놀이'도 자주 등장하는 문제이니 빠짐없이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필기시험에서 지역별로 묶어 문제내는 것이 가장 무섭더라구요~ 제대로 공부했나 안했나 감별되는 문제라 더 떨렸던 것 같은데 여러분들은 꼼꼼하게 준비하셔서 이런 떨림 없이 시험을 치룰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럼, 오늘의 포스팅 주제 '관통사가 알아야 할 우리나라 민속놀이'에 대해서 살펴볼까요?
민속놀이란?
민간에 전해져 내려오는 각 지방의 생활과 풍속이 잘 드러나는 놀이를 말합니다.
서울 주요 민속놀이?
북청사자놀음(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 : 함경남도 북청군 일대에서 정월 대보름날 행하던 민속놀이를 사자탈을 쓰고 마을의 평안을 비는 행사입니다. 함경북도에서 월남한 사람들이 공연을 이어왔다고 합니다.
송파산대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49호) : 정월대보름이나 단오, 추석 등 명절 때 즐기던 탈놀이로 하층민의 놀이문화 였습니다. 양주 별산대 놀이와 흡사하거나 지금은 명맥이 끊어진 서울의 산대놀이의 원형을 잘 갖추고 있습니다.
경기도 주요 민속놀이?
양주별산대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 서울 경기지방에서 전승된 가면극으로 정월 대보름이나 단오, 추석과 같은 명절에 공연을 펼쳤습니다. 극의 내용은 양반 풍자와 서민의 생활상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남사당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 조선시대 남자 40여 명으로 구성된 유람 남사당패가 서민층을 대상으로 행한 한국 민속 공연입니다. 남사당놀이에는 여섯 가지 공연이 있는데 풍물놀이, 버나놀이, 살판, 어름, 덧뵈기와 덜미입니다. 다양한 기예들로 구성된 남사당놀이는 사회에 대한 풍자와 그들의 고단한 삶을 이겨내기 위한 유머를 담고 있어 한국인의 해학적인 정신을 잘 보여주는 놀이입니다. 남사당놀이는 2009년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강원도 주요 민속놀이?
강릉단오제 : 단옷날 전후로 펼쳐지는 강릉 지방의 향토 제례의식으로 4주동안 술을 만들고 제사를 지내고 다양한 민속놀이를 즐기며 풍농, 풍어를 기원하던 민속놀이입니다. 2005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경상도 주요 민속놀이?
안동차전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24호) : 정월 대보름 전후에 행하던 민속놀이로 견훤과 고려 태조왕건의 전투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집니다. 놀이는 각 마을에서 만든 동채를 서로 겨루어 먼저 땅바닥에 닿는 쪽이 지는 놀이로 이기는 마을에는 풍년이 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영산줄다리기(국가무형문화재 제26호) : 경남 창녕 영산면에서 주요 명절에 마을의 단합을 위해 행하던 마을단위의 놀이로 여성을 상징하는 서편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합니다. 2015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줄다리기로 등재되었습니다.
밀양백중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68호) : 백중은 음력 7월 15일 머슴들이 휴가를 얻어 노는 날에 하던 놀이입니다. 농신제, 작두타기, 춤판 등이 이루어집니다.
전라도 주요 민속놀이?
강강술래(국가무형문화재 제8호) : 추석이나 보름달이 뜨는 날에 행해진 민속놀이로 여자들이 보름달 아래에서 노래하고 춤추며 노는 전통 한국 무용입니다. 강강술래의 본거지는 전라남도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 놀이는 넓은 지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고, 외출이 자유롭지 않았던 여성들이 간만의 외출을 즐기며 하던 놀이로 2009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광주 칠석 고싸움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33호) : 정월 대보름에 행해지던 놀이로 짚을 지어 만든 고를 가지고 겨루는 놀이입니다. 이 놀이는 마을의 협동심을 다지고 풍년을 기원합니다.
오늘은 '관통사가 알아야 할 우리나라 민속놀이'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익숙한 민속놀이도 있는 반면에 생소한 놀이도 있죠? 각각의 특징에 대해서 디테일하게는 아니더라도 언제 행해지는 민속놀이인지, 어느 지역에서 유래되어 온 것인지 정도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셔야 합니다. 지역별로 묶어 문제가 출제될 때 단골질문이기 때문에 놓치지 말고 꼭꼭 외우고 넘어가세요~
그럼 전 다음에 또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자원 유형별 특징 (0) | 2020.07.04 |
---|---|
관통사가 알아야 할 지역별 향토축제 (0) | 2020.07.02 |
관통사가 알아야 할 우리나라 전통주 (0) | 2020.06.30 |
관통사라면 알아야 할 우리나라 향토음식 (0) | 2020.06.29 |
풍속 (세시풍속, 통과의례) (0) | 2020.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