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나가던 <빈센조>, 시청자 불쾌하게 한 중국비빔밥 PPL
'한드'에 중국비빔밥 PPL이?···시청자들은 "불쾌하다"
tvN 드라마 ‘빈센조’가 중국산 PPL 상품이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tvN 드라마 '여신강림'에 이어 '빈센조'에도 중국 제품 간접광고(PPL)가 등장해 시청자들의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방송관계자들은 위축된 국내 드라마 시장에서 제작비를 메우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14일 방송된 '빈센조' 8회에서는 빈센조(송중기 분)와 홍차영(전여빈)이 대화를 나누며 비빔밥 종류의 중국산 인스턴트 제품을 먹는 장면이 방송됐습니다. 장면에 등장한 도시락은 한국 브랜드인 청정원과 중국 브랜드 즈하이궈가 합작한 중국 내수용 비빔밥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같은 장면이 방송되자 일부 시청자들 사이에선 해당 제품의 PPL을 문제 삼았습니다. 중국에서 김치, 한복 등 한국 전통 문화를 자국의 것이라고 주장해 논란인 시점에 굳이 중국 자본이 들어간 제품을 광고했어야 하냐는 것. 또 일각에서는 한국 고유의 음식인 비빔밥이 중국 기업 제품으로 광고되는 것에 대해 꼬집었습니다.
그런가 하면 해당 브랜드의 다른 제품에는 ‘한국식 파오차이’라고 표기돼 있다는 문제가 제기돼 논란이 가중됐습니다. 한 누리꾼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 중 ‘한국식 김치돌솥비빔밥’이라는 이름이 붙은 제품도 있다. 중국어로 ‘한국식 파오차이’라고 표기돼 있더라”고 지적했습니다.
지난달 종영한 tvN 드라마 '여신강림' 방영 당시에도 중국 제품 PPL이 등장해 논란이 일었습니다. 주인공들이 편의점에서 컵라면처럼 된 훠궈를 먹고, 중국어로 된 버스정류장 광고가 나오는 등의 장면이 반복적으로 등장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 대해 시청자들은 계속해서 불편함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이유로 ‘빈세조’에 대한 시청자들의 실망이 커진 가운데 방송사 및 드라마 제작사는 선택권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방송관계자들은 PPL을 골라서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것. 또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드라마 시장의 판세가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쪽으로 기울어져 국내 시장이 더 어려워진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유통되지 않는 제품의 PPL이 등장하는 것이 높아진 한국 드라마의 위상을 증명한다는 평가도 내놓고 있습니다. 해당 제품이 한국에서 판매되지 않더라도 한국 드라마에 PPL이 등장했을 때 중화권 시장에서 충분히 광고 효과가 발휘된다는 설명입니다.
'중국관련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중회담 시작부터 삐그덕 대립, 대화와 소통 가능할까? (0) | 2021.03.19 |
---|---|
'중국발 황사' 표현에 발끈한 중국, 몽골에 책임 떠넘기기 (0) | 2021.03.17 |
중국 '10년 만의 최악' 황사, 내일 새벽부터 한국으로 (0) | 2021.03.15 |
비위생의 끝을 찍은 중국 절임 배추, 알몸으로 배추를 절이다?! (0) | 2021.03.12 |
시진핑, 중국 최대 정치행사서 '침묵'..왜? (1) | 2021.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