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관통사 필기과목 관광자원해설 공략법

 관통사 필기과목 관광자원해설 공략법

 

요즘 부쩍 날이 추워지신거 다들 느끼시나요? 봄인데 패딩을 꺼내입게 될줄이야 ㅎㅎ

 

오늘은 관통사 필기과목 관광자원해설 공략법에 대하여 소개하려합니다.

 

관통사 필기과목은 총 4과목이 있습니다. 관광학개론, 관광국사, 관광학개론, 그리고 관광자원해설!!

 

4과목 중, 응시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관광자원해설이라고 합니다.

 

 

 

왜일까요?? 바로 방대한 양때문이죠!! 사실 저도 준비하면서 가장 시간을 많이 투자한 과목이 관광자원해설이었어요.

 

자, 그럼 관통사 필기과목 관광자원해설 공략법에 대하여 알아볼까요?

 

 

관통사 필기과목 관광자원해설 공략법

 

 관광 관련 뉴스에 관심을 가져라!

 

최근 관광자원해설 시험문제 경향을 보면 적어도 2문제 정도는 시사적인 내용, 최근 관광자원의 핫이슈등이 키워드로 출제됩니다. 따라서 시험보러 들어가는 날까지 우리나라 관광과 관련된 뉴스에 관심을 가지고 자주 체크하셔야 합니다.

 

 

 한국의 세계유산은 반드시 암기하라!

 

세계유산들의 명칭과 내용, 등재 순서는 반드시 1문제 이상 출제됩니다. 따라서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세계자연유산, 세계기록유산, 세계무형유산은 꼭 모두 외우시길 바랍니다.

 

특히 등재순서가 시험에 자주 나오니 본인만의 암기법을 구상하셔서 연도까지 확실히 외우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행정구역 파악은 기본!

 

대한민국은 1개의 특별시, 6개의 광역시, 8개의 도, 1개의 특별자치도, 1개의 특별자치시로 나뉩니다.

 

지역마다의 특색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는지의 문제들이 나올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역문화축제, 민속놀이, 특산물에 대한 정보를 한국의 지형과 함께 정리하셔야 합니다.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국가지질공원 정리하라!

 

중요도로 따지자면 국립공원, 도립공원에 대한 정보는 무조건 달달 외우셔야 합니다. EX) 몇 곳이 지정되어 있는지, 지정순위, 위치 등 정확하게 암기하셔야 하고, 나머지는 누구에 의해 지정되는지,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마지막에 지정된 곳은 어딘지등을 정리하시면 됩니다.

 

 동굴에 관한 정확한 구분이 필요하다!

 

동굴도 석회동굴, 용암동굴, 해식동굴 등으로 구분되는데, 분류되는 원인과 우리나라 주요 동굴에 대해 파악하고 계셔야 합니다.

 

우리나라 동굴이 얼마나 많은데...싶죠? 적어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굴 현황 이라도 꼭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주요 하천 관광자원과 댐!

 

우리나라 주요 하천의 길이를 비교하자면, 낙동강>한강>금강>섬진강>영산강 입니다.

 

위 강들의 위치 및, 관광자원으로 가치가 있는 댐들을 파악하셔야 합니다.

 

 주요 온천과 약수!

 

온천은 자연형, 휴양형, 관광지형으로 구분되는데, 우리나라의 주요 온천 분포와 특징에 대해 파악하시면 됩니다.

 

약수 역시 주요 약수, EX) 달기약수, 오색약수, 초정약수 등 약수의 특징과 분포지를 정리하세요.

 

 람사르습지!

 

람사르습지는 전 세계적으로 습지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지정, 보호하는 습지를 말합니다.

 

우리나라도 1997년 101번째로 람사르협약에 가입하여, 2008년엔 경남 창원에서 제 10차 람사르 총회를 개최하였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총 몇개의 람사르습지가 등록되어 있는지, 분포위치는 어디인지, 주요 습지의 특징은 어떤 것이 있는지등을 암기하셔야합니다.

 

 관광특구!

 

관광특구는 외국인 관광객을 늘리기 위해 지정되는 장소입니다. 최초로 지정된 곳은 어딘지, 지정기준, 지정효과에 대한 파악은 물론, 지정현황에 대해서도 정확히 아셔야합니다. 특히 지정현황은 추가되는 경우 있으니 시험장에 들어가기 전까지도 추가된 업데이트 사항이 있는지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슬로시티!

 

슬로시티는 그 지역의 전통문화, 자연환경을 살리고 느림의 삶을 추구하려는 국제운동을 말합니다.

 

슬로시티는 면접에서도 굉장히 중요하게 나올 수 있는 부분이니 필기 공부하면서 정확하게 파악하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슬로시티 역시 계속해서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고, 특히 최근 몇 년간, 어느 지역이 슬로시티로 추가되었는지 등은 필수적으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국보, 보물 구분!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 중에서 더 큰 보존가치가 있는 것이 국보로 지정되는데, 국보와 보물의 양이 너무 많아서 사실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무척 힘들긴 합니다.

 

저는 공부할 때, 국보는 1호~50호까지, 그리고 훈민정음, 이순신 난중일기 등 눈에 익는 단어들은 또 따로 몇 호 인지 수시로 보고 암기하려 했습니다.

 

보물은 1호~8호까지만 제대로 외우고 나머지는 계속 눈으로 조금씩 슥 슥 본 정도입니다.

 

 건조유물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리!

 

목조건축, 가옥, 궁궐, 성곽, 석비, 기타 건축물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리가 필요한 부분인데요, 외울것이 정말 많다고 생각은 들지만, 한 번 외우면 다른 ~댐, ~온천 등보다는 잘 안까먹게 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문제가 많이 나오는 부분이니 빼먹지 말고 정리하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불교 자원적 내용!

 

불교의 정의와 사찰의 구성, 불탑, 사찰 석조물, 불상, 불구에 대한 세세한 내용정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불교와 관련된 불상, 불탑등은 국보나 보물로 지정된 것들이 많기에 가지치기로 더 깊이 파고 들어가셔서 공부하셔야 합니다.

 

 

 유교 자원적 내용!

 

유교의 정의와 유교 건축물에 대해 세세한 정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조선시대에 성리학을 중시했기에 관련 내용을 잘 정리하셔야 합니다.

 

특히나 서원철폐령으로 남아있는 47개 의 서원에 대해서도 일부 내용을 암기하셔야 하는데요, 2019년 7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한국 서원이 9곳이 등재가 되어서, 각 서원의 위치, 이름, 누구를 배향하는지 등을 정리하셔야 합니다.

 

혹시 올해 2020년에도 추가로 등재되는 세계유산이 있다면, 시험으로 나올 가능성이 크겠죠

 

 고분과 왕릉에 대한 용어정리!

 

고려시대보단 조선시대의 왕릉에 대한 용어 정리가 중요합니다. 조선시대 왕릉은 총 42개가 남아있는데, 그 중 40개의 왕릉이 남한에 있습니다. 각 왕들의 무덤명과 위치, 그리고 특징에 대해 자세하게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오늘은 관통사 필기과목 관광자원해설 공략법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정말 공부할 것이 많죠? 

 

그 밖에도, 우리나라 전통 의례와 의식, 시대별 회화, 한국의 풍속, 민속문화재, 민속마을, 특수성을 가진 주제박물관, 산업적 관광자원, 위락적 관광자원에 대한 구체적 내용과 개념이 정리되어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 출제 확률이 낮아서, 정말 시간이 부족하신 분들은 파란색글씨로 하이라이트를 준 주제들만 집중적으로 공부하셔도 60점이상은 넘으실 수 있으십니다.

 

공부할 땐, 정말 머리가 아프지만, 그래도 공부하다보면 지식이 정말 방대해지는 느낌이 들어서 뿌듯한 마음이 생깁니다. 모두 포기마시고 관광자원해설 정복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