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관련 News

美·印·日에 13년만에 호주 가세...중국 압박

美·印·日에 13년만에 호주 가세...중국 압박

 

 

중국 보란 듯 인도양서 '쿼드' 4개국 합동 군사훈련

'중국 견제'라는 공동 목표를 가진 미국, 인도, 일본, 호주 등 '쿼드'(Quad) 4개국이 인도양 합동 군사훈련에 돌입합니다. 인도 국방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연례 합동 해상 군사훈련인 '말라바르'가 3일부터 인도양 동북부 뱅골만에서 시작한다고 2일(현지시간) 오후 밝혔습니다.

 

 

말라바르는 1992년 인도와 미국 해군 간 군사훈련으로 시작됐습니다. 일본 해상자위대는 2015년부터 고정 멤버로 참가 중입니다. 올해는 특히 호주가 13년만에 가세했습니다. 호주는 2007년 훈련에 참여했으나 중국의 반발 등으로 인해 이후엔 불참해왔습니다. 호주의 가세에 올해 말라바르 훈련은 쿼드 4개국이 모두 참여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끕니다.

 

쿼드는 미국의 전통적 동맹국인 일본과 호주에 비동맹국 지위를 고수하던 인도가 합류하면서 구성된 협의체입니다. 이들 4개국의 외교부 장관은 지난 9월 초 일본에 모여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협력 중요성을 확인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미국은 전방위로 중국과 갈등하는 상황이고, 인도도 중국과 국경 문제로 심각하게 대립하고 있습니다. 호주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원에 관한 독립적 조사 지원을 놓고 중국과 외교적 마찰을 겪고 있습니다.

 

올해 말라바르 훈련은 2단계로 진행됩니다. 6일까지는 뱅골만에서 펼쳐지고 이달 중순에는 인도양 북서쪽 아라비아해로 무대를 옮겨 훈련을 계속합니다. 훈련에는 미국 맥케인함, 호주 밸러랫함, 인도 란비자이함 등 구축함을 비롯해 잠수함, 헬리콥터, 초계기 등이 참여할 예정입니다.

 

 

이번 훈련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팽창주의 노선을 걷고 있는 중국에 상당한 압박이 될 전망이라고 현지 언론은 분석했습니다. 미국 군사 전문 매체 디펜스뉴스도 최근 "말라바르에서는 첨단 전쟁훈련이 이뤄질 수 있다. 중국에 강력한 메시지를 제공할 잠재력이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은 4개국의 협동훈련에 못마땅해하는 속내를 드러냈습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국가들의 행동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고 그 반대가 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미국 편드는 호주산 곡물 수입 전면 금지

중국 정부가 호주산 보리 등 곡물 수입을 전면 금지이라고 3일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번 호주산 밀 수입 금지 조치는 지난 4월 호주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원지에 대한 국제적인 조사를 요구한 후 중국과 호주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앞서 중국 정부는 보복의 일환으로 호주산 쇠고기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데 이어 호주 여행·유학도 사실상 금지했습니다.

 

 

 

이번 조치에는 보리, 설탕, 적포도주, 목재, 선탁, 바닷가재, 구리광석 등도 대거 포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업계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는 이러한 조치에 내부적으로 합의했으며, 3일 모든 중국 국영 및 민간 무역업자들에게 금지령을 내릴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몇몇 무역 업체들은 정부로부터 금지령을 전달 받았지만 공식적인 서류는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호주산 밀과 보리 등 수입을 금지하는 명확한 이유도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중국의 한 무역 소식통은 "중국 수입업자들은 정부로부터 수입 금지 규정을 엄격히 준수하고 즉시 모든 주문을 중단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오는 6일 이전에 중국 항구에 도착한 호주산 상품에는 규제가 들어가지 않지만 그 후 도착한 물품들은 모두 반출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또 반출되는 물품의 손해는 모두 무역업자들이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 금지령으로 호주 측은 큰 손해를 볼 것으로 보입니다. 보리는 호주의 대중국 수출 곡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수출액이 연평균 약 8억4300만 달러(9500억원)에 달합니다. 또 소식들은 밀 수입 금지 조치로 호주 측이 약 4억달러(4500억원)의 추가 손해를 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