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관련 News

또 중국이냐? 중국 코로나 이어 브루셀라병 집단감염

또 중국이냐? 코로나 이어 중국 브루셀라병 집단감염

 

 

중국, 브루셀라병 증세와 확산 원인

코로나19 진원지로 지목되는 중국에서 3000명 이상이 브루셀라병에 집단 감염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제2의 코로나' 공포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16일 중국 매체 신경보에 따르면 중국 란저우 당국은 지난해 12월 중국농업과학원 산하 란저우 수의연구소에서 브루셀라병 집단감염이 발생한 후, 이달 14일까지 란저우 주민 2만 1847명을 검사했고, 그 결과 3245명이 브루셀라병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중국에서 브루셀라균의 집단 감염자가 발생하면서 또 한번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에 이어 브루셀라병도 전 세계로 확산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입니다. 브루셀라병은 사람과 동물이 모두 걸리는 병으로 열이나고 피곤하며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코로나19와 증세가 일부 비슷합니다.  

 

이번 사태의 원인 브루셀라병 백신 생산 공장의 부주의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국의 조사에 따르면 중무(中牧) 란저우생물제약공장이 지난해 7~8월 동물용 브루셀라병 백신 생산 과정에서 사용 기한이 지난 소독약을 쓰면서 생산·발효시설에서 나온 폐기물이 제대로 살균되지 않아 브루셀라균이 포함된 폐기물이 에어로졸 형태로 외부로 퍼졌습니다. 연구소가 위치한 지역에서 주로 동남풍이 불어 그 방향에 있던 란저우 수의연구소의 연구원과 지역 주민 등이 흡입이나 점막 접촉 등의 방식으로 감염된 것입니다.

 

 

이미 사고가 발생한 지 1년 넘게 지났으며 환자들의 증상 호소 및 당국의 검사는 이전부터 이뤄져온 것으로 보이는데, 당국은 거리도 떨어져 있었던 만큼 흡입하거나 점막과 접촉한 양도 적어 큰 우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 전했습니다.

 

브루셀라병 증상들

인수 공통 전염병인 브루셀라병에 걸리면 발열, 다한증, 관절통, 무기력증 등의 증세가 나타나고 생식기관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대개 소와 양 등 가축을 통해 사람에 전염됩니다. 단,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브루셀라균이 외부로 배출돼 전파를 일으키진 않습니다. 사람이 브루셀라균에 감염되면 3주 정도 잠복기를 거쳐 발열·오한·두통·피로·식욕부진·근육통 등 전신 증세가 나타납니다. 멸균처리 되지 않은 우유·생치즈 등 유제품을 먹어도 걸릴 수 있습니다.

 

 

17일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간쑤성 란저우 주민 쉬 모씨는 "주로 관절 통증이 있고 잠잘 때 식은땀이 난다. 수면 시간도 늘었다"고 증상을 설명했습니다.

 

중국 매체 차이신 보도에 따르면 란저우에 거주 중인 40대 여성은 지난해 9월부터 심한 관절통과 고열 증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녀가 브루셀라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데는 6개월이나 걸렸습니다. 그녀는 치료 기간을 놓쳐 만성 질환에 걸렸고, 7월부터 관절통 때문에 도움 없이 걷기 힘들게 됐습니다. 이 여성은 "종아리가 평소보다 2배로 부풀어 오르고 몸 전체의 관절이 다쳤다"고 증상을 설명했습니다.

 

다수의 중국 매체 보도에 따르면 치료 비용이 아직 지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국은 10월부터 보상 작업을 진행할 방침입니다.

 

브루셀라병 치사율과 치료법, 예방법

브루셀라병은 동물에서 인간으로 감염되는 인수 공통 전염병입니다. 치사율은 2% 이하지만 완치가 쉽지 않습니다. 1년 이상 지속되면 만성피로나 우울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엔 척추염·골수염 등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심내막염과 같은 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브루셀라병에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습니다. 사람이 브루셀라병에 감염되면 테트라사이클린·스트랩토마이신·클로람페니콜 등의 약을 쓰지만, 투여를 중지하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브루셀라병을 예방하는 백신도 없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예방법으로는 살균되지 않은 우유나 유제품을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수의사, 목장 근로자, 축산물 가공업자, 도축장 종사자, 실험실 근무자 등의 고위험군은 작업 전에 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합니다. 소 등의 가축을 구입할 때는 반드시 검사 증명서를 확인하고 브루셀라증이 발생하지 않았던 농장에서 구입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