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우리나라 국립공원 지정 현황

우리나라 국립공원 지정 현황

 

오늘은 관통사 공부하면서 정말 머리를 아프게 했던 관광자원해설의 한 부분, 우리나라 국립공원 지정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문화나 종교에 대해서는 이전부터 관심이 있었어서 공부할때 새로운 느낌은 없었는데, 자연관광자원 부분에서 산,,, 해안,,, 동굴,,, 이런 파트가 나왔을땐 정말 당혹스러웠거든요 ㅎㅎ 너무 안외워져서 정말 그냥 종이에 깜지수준으로 적으며 외웠네요 저는 ㅎㅎ

 

그러다가 최근들어서 코로나19로 헬스장도 못가고 해서 운동삼아 100대 명산을 찾아 다니기 시작했는데요, WOW~우리나라 산들이 참 아름답더라구요~ 그렇게 달달 외웠던 이름 아는 국립공원에 가게되면 괜히 뿌듯하고, 막 친숙한 느낌이 들고 그렇더라구요.

 

오늘따라 사담이 길었네요~그럼 우리나라 국립공원 지정 현황에 대해 살펴볼까요??

 

 

우리나라 국립공원 지정 현황

 국립공원이란?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수려한 자연 풍경지의 보호, 육성을 목적으로 자연공원법 제4조 및 제4조의 2에 따라 국가에서 지정하는 곳을 말합니다.

 

1967년 3월 3일 공원법이 제정되고, 같은 해 12월 29일 지리산이 최초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후 현재까지 21개 국립공원이 추가 지정되어 현재는 22개 국립공원을 관리·보존하고 있습니다.

 

 국립공원 지정 절차?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환경부장관이 지정한 공원입니다. 환경부장관은 후보지 조사를 거쳐 지정안을 마련하고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 지방자치단체와 관계 중앙행정 기관장과 협의 및 국립공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립공원 지정안을 확정·고지합니다.

 

 국립공원의 기능?

1) 국립공원은 풍부한 종다양성을 지닌 자연 생태지역으로서 미래를 위한 유전자원의 보고입니다.

2) 국립공원은 청정한 자연환경과 수려한 경관지를 공공에 개방하고, 제공하는 국민의 휴식처입니다.

3) 국립공원은 타 지역에서는 불가능한 자연과 생명의 신비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해 공공의 이익에 기여합니다.

4) 국립공원은 보전의 결과로 다양한 자연적·문화적 정서함양을 위한 교육의 장을 제공합니다.

 

 국립공원 지정 목적?

1) 자연의 원형 보존 및 후손에게 물려주기 위해서,

2) 학술적 연구를 통해 인류복지에 기여하기 위해서,

3)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국립공원 지정 현황(=지정 순위)

(2020년 기준)

지정

순위

공원명

위치

지정일

면적㎢

1

지리산

전남, 전북, 경남

1967.12.29.

483.022

2

경주 

경북

1968.12.31.

136.55

3

계룡산

충남, 대전

1968.12.31.

65.335

4

한려해상

전남, 경남

1968.12.31.

535.676

5

설악산

강원

1970.3.24

398.237

6

한라산

제주

1970.3.24.

153.332

7

속리산

충북, 경북

1970.3.24.

274.766

8

내장산 

전남, 전북

1971.11.17

80.709

9

가야산

경남, 경북

1972.10.13

76.256

10

덕유산

전북, 경남

1975.2.1.

229.430

11

오대산

강원

1975.2.1.

326.348

12

주왕산

경북

1976.3.30.

105.595

13

태안해안

충남

1978.10.20.

377.019

14

다도해해상

전남

1981.12.23.

2,266.221

15

북한산

서울, 경기

1983.4.2.

76.922

16

치악산

강원

1984.12.31.

175.668

17

월악산

충북, 경북

1984.12.31.

287.571

18

소백산

충북, 경북

1987.12.14.

322.011

19

변산반도

전북

1988.6.11.

153.934

20

월출산

전남

1988.6.11.

56.220

21

무등산

광주, 전남

2013.3.4.

75.425

22

태백산

강원, 경북

2016.8.22.

70.052

 

 국립공원 유형과 현황

산악형 국립공원 (17개) : 지리산, 계룡산, 설악산, 속리산, 한라산, 내장산, 가야산, 덕유산, 오대산, 주왕산, 북한산, 치악산, 월악산, 소백산, 월출산, 무등산, 태백산

 

해상·해안형 국립공원 (4개) : 한려해상, 태안해안, 다도해상, 변산반도 

 

사적형 국립공원 (1개) : 경주

 

 

오늘은 우리나라 국립공원 지정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현재까지는 22곳이 지정되었으니 우선 국립공원명위치를 꼼꼼하게 외우시기 바랍니다. 지정일은 22곳 다 외우기 보단, 좀 특별한? 예를들어 최초로 지정된 지리산 1967년, 최초 해상·해안형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한려해상 1968년, 지정 연도가 1970년으로 중복되는 설악산, 한라산, 속리산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정된 태백산 2016년까지~ 이정도는 기본적으로 외우시고, 나머지는 각자의 암기용량에 맡기겠습니다. ㅎㅎ

 

그럼 저는 다음에 또 유용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