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관련 News

시진핑 "중국 내정에 존중하라" 바이든에 날선 경고

시진핑 "중국 내정 존중하라" 바이든에 날선 경고

 

시진핑(習近平·67) 중국 국가주석이 조 바이든(79) 미국 대통령에게 “대만·홍콩·신장(新彊) 문제는 중국 내정”이라며 “미국은 중국의 핵심이익을 존중하고 신중하게 행동하라”며 경고했다고 중국 관영 신화사가 보도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 취임 22일만인 11일 이뤄진 미·중 정상 간 첫 통화에서 말이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첫 정상 통화가 2시간이나 진행되었습니다.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미국의 인프라 투자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일부 상원 의원들과 면담한 자리에서 시 주석과의 전날 통화와 관련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나는 어젯밤 시 주석과 2시간 연속으로 통화를 했다"며 "좋은 대화였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나는 그를 잘 안다"며 "우리는 내가 부통령이었을 때 수년 동안 함께 많은 시간을 보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최근 CBS방송 인터뷰에서 부통령 시절 시 주석과 24~25시간 가량 대화를 나눴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취임 이후 3주 만인 전날 밤 시 주석과 처음으로 통화했습니다. 지난달 20일 취임한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의 통화는 캐나다(22일)→멕시코·영국(23일)→프랑스(24일)→독일(25일)→북대서양조약기구(NATO)·러시아(26일)→일본(27일)→한국(3일)→호주(3일)→인도(8일)에 이어 12번째로 이뤄졌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을 비롯한 행정부 고위 인사들이 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강경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생각을 잇따라 피력한 상황에 이뤄진 통화였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2시간이나 진행된 두 정상의 통화는 임기 초반 일정 기간의 정치적 밀월을 뜻하는 허니문은 고사하고 서로 핵심 이익을 내세우며 거친 설전이 벌어졌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실제로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의 강압적이고 불공정한 경제적 관행과 홍콩에 대한 탄압, 신장에서의 인권 유린, 대만을 포함한 역내에서 점점 더 독선적인 행동에 대해 근본적인 우려를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 무역, 인권 등 중국이 민감해하는 이슈를 꺼내들고 시 주석을 압박했다는 뜻입니다.

반면 중국중앙TV는 시 주석이 "대만, 홍콩, 신장 문제는 중국 내정"이라면서 "이는 중국의 주권과 영토 보전이 걸린 문제인 만큼 미국은 중국의 핵심 이익을 존중하고 신중하게 행동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고 전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의 주장을 되받아친 것입니다.

외신은 2시간짜리 이번 마라톤 통화가 이례적인 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AFP통신은 "미국 대통령으로선 이례적으로 긴 상호대화"라면서 "미국 대통령은 대면 회담도 한 시간을 거의 넘기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중국의 사례에 빗대 미국의 인프라 투자 확대가 시급하다는 경계심도 드러냈습니다. 그는 "우리가 움직이지 않으면 그들(중국)이 우리의 점심을 먹어 치워 버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에서 점심을 먹어 치워 버린다는 말은 누군가를 이기거나 물리친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그는 중국이 철도에서 중요하고 새로운 주도권을 갖고 있다고 한 뒤 "그들은 시속 225마일(약 360km)로 달리는 철도가 이미 있다. 우리가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중국은 매우 열심히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이 자동차 산업에서도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한 뒤 "그들은 수십억 달러를 투자해 운송과 환경, 다양한 범위의 다른 것들과 관련된 이슈를 다루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인프라는 민주당이나 공화당의 당파적 문제가 아니다", "인프라를 당파적 이슈로 생각해본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초당적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트럼프 집권 기간 단절됐던 안보·경제 등 각종 대화 기제가 복원될지 주목되는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