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관련 News

WHO, '코로나19 중국 밖 기원설'에 '추론일 뿐' 선 그어

WHO, '코로나19 중국 밖 기원설'에 '추론일 뿐' 선 그어

 

중국 연구팀 "코로나19, 우한 앞서 인도·방글라 존재 가능성"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자국 기원설을 계속 부정하는 가운데 한 중국 연구팀이 중국에서 발생하기 전에 인도 등 여러 국가에 이미 바이러스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을 내놨습니다.

 

2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상하이 생명과학연구원 선리빙 박사팀은 "첫 인간 전염은 인도나 방글라데시 등 인도 아대륙에서 발생했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균주의 변이가 적을수록 코로나19의 원형과 가깝다는 판단에 근거해 17개국 균주의 변이 횟수를 세는 방법을 썼습니다.

 

그 결과 호주·방글라데시·인도·그리스·미국·러시아·이탈리아·체코 등 8개국 균주의 변이가 가장 적었다면서, 첫 사람 감염 발생지는 후베이성 우한이 아니며 균주의 다양성이 가장 큰 인도·방글라데시일 가능성이 있다고 봤습니다.

 

연구진은 지난해 5월 인도의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 당시 동물과 사람이 같은 식수를 쓰게 됐고, 이 과정에서 동물로부터 사람에게로 바이러스 전염됐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인도는 젊은 층 인구 비율이 높아 중환자 발생빈도가 낮았고 이 때문에 바이러스를 파악하기 어려웠다는 것입니다.

 

해당 연구 일부는 학술저넉 '분자 계통유전학과 진화'에 발표됐고, 또 다른 관련 연구는 아직 동료 검토(peer review·피어 리뷰)를 거치지 않은 채 의학저널 '랜싯'의 사전논문 공개사이트에 게재됐습니다.

 

하지만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UCLA) 마크 수처드 교수는 이 연구에 대해 "임의적인(표본) 무리에서 다른 균주와 차이가 가장 작아 보이는 균주를 뽑는 식으로는 바이러스 원형을 알기 어려울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기원을 조사 중인 가운데, 마이크 라이언 WHO 긴급대응팀장은 27일 (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코로나19의 중국 밖 기원설'에 대해, "그렇게 말하는 것은 매우 추론적"이며 근거가 빈약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조사 연구를 통해 확인된 사실이 아니라는 취지입니다.  

 

라이언 팀장은 "공공보건의 관점으로 인간 감염 사례가 처음 확인된 곳에서 조사를 시작하는 것은 명백하다"면서 중국이 첫 조사 대상국임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는 바이러스 발원지를 확인하고자 우한 시장에 연구진을 보낼 계획이며 그 결과에 따라 다른 국가로 조사가 확대될 수 있다고 부연했습니다.

 

현재까지 공식 확인된 첫 발병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지난해 12월 중국 우한입니다. 그러나 중국은 최근 코로나19가 자국에서 기원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을 강화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중국 기원설' 주장이 나올 때마다 발끈하며 반박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해외에서 들여온 냉동식품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된 사례를 '외부 유입설'의 근거로 적극적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그러나 앞서 WHO는 "식품이나 식품 포장지를 통해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27일 하루 중국 전역에서 보고된 신규 확진자 6명 전원은 해외에서 유입된 사례라고 발표했고, 세관당국인 해관총서는 28일 칠레산 수입 냉동 킹크랩 포장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의 호흡기질병 권위자 중난산 중국공정원 원사는 전날 한 회의에서 "현재 중국에서 독감과 코로나19에 모두 감염된 사례가 최소 4건"이라면서 "독감 유행기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사례가 더 발생할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