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에서 중국 '위챗페이' 사용가능, 언제부터? 득과실?
제로페이 가맹점 27만곳서 중국 '위챗페이' 결제한다
서울시는 28일부터 서울시내 제로페이가맹점 27만 곳에서 중국 모바일 간편결제 '위챗페이'를 사용할 수 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제로페이와 위챗페이 간 QR코드를 연동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앱)을 깔지 않고도 손쉽게 결제가 가능합니다.
'위챗페이'는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인 텐센트가 운영하는 대표 간편결제시스템으로 중국 내 월 순수사용자가 8억 명에 달합니다. 현재 전 세계 49개국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특히 제로페이-위챗페이가 연동될 경우 위챗페이가 소상공인 발전을 위해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수수료 정책을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경우 기존보다 인하된 수수료를 가맹점에 제공할 수 있어 가맹점은 결제에 따른 수수료 부담이 줄어듭니다.
한국방문 해외관광객 3분의 1인 중국인이 위챗페이를 사용하게 되면 좀 더 많은 소비로 이어 질 수 있어 소상공인들의 실질적인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서울시는 전망했습니다.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1750만 명 중 34.4%인 602만 명이 중국인 관광객으로 1인 평균 1887(약 210만원), 총 12조원이 넘는 소비를 했습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중국 유학생과 노동자도 별도의 카드발급이나 현금인출, 환전 없이 위챗페이만으로 손쉽게 물건을 구매할 수 있어 지역 내 소비 진작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위챗페이는 QR 통합결제가 가능한 해외가맹점 27만 곳을 한꺼번에 확보할 수도 있습니다.
서울시는 이번 위챗페이 연동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아세안국가 대표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도 제로페이가맹점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위챗페이, 한국간편결제진흥원(제로페이 운영기관)은 서면협약을 체결하고 가맹점관리부터 홍보 등 원활한 운영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이들은 중국인이 많이 방문하거나 거주하는 명동, 신촌을 비롯해 이화여대, 홍익대, 건국대, 한양대 등 대학교 인근의 제로페이 가맹점을 대상으로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서정협 서울시 권한대행은 "제로페이-위챗페이의 연동은 중국 유학생과 노동자, 관광객에게 편리한 소비를, 소상공인에게는 수수료 감소 및 매출증대라는 실질적인 이익을 줄 것"이라며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 제로페이의 결제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관련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센카쿠 중국땅' 뒤집어진 일본 (0) | 2020.11.28 |
---|---|
군 CCTV에서 중국 서버 연결된 악성코드 발견 (0) | 2020.11.26 |
'중국 도전 보고서'에서 찾은 화웨이 생존가능성 (0) | 2020.11.24 |
중국, 미국이 혼란스러운 틈에 미국 대신 리더쉽 발휘? (0) | 2020.11.23 |
중국, 코로나19 '중국 밖 발원' 주장 본격화 (0) | 2020.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