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보다 시노팜? 중국, 코로나 백신 홍보 안간힘
화이자 보다 대단한 시노팜? 중국, 코로나 백신으로 정치화 하지 말라
미국 제약회사인 화이자가 자체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효과가 90% 이상이라고 발표한 가운데 중국도 자국산 백신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11일 관영 글로벌 타임스에 따르면 시노팜이 개발한 불활성화 백신은 멕시코의 접종 사례에서 100% 유효성을 보였다고 중국 전문가들이 주장했습니다.
중국 전문가들은 시노팜이 개발한 백신의 유효성이 100%라고 주장하면서 화이자 백신보다 효과가 뛰어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글로벌 타임스는 "화이자의 발표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많은 언론이 열광적으로 보도했지만, 5만6천여명의 중국 해외 여행자들에게 사용돼 온 시노팜의 백신은 자료가 공개되자 많은 서방 언론의 의심과 도전을 받았다"며 "이렇게 상반된 반응은 백신 문제를 정치화하기 위한 것으로 서방 언론이 백신에 대해 이중 잣대를 들이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신문은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華爲) 멕시코 지사 사례를 언급하면서 "이 지사 직원 99명 중 81명이 백신을 접종했다"면서 "이후에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10명의 직원만 코로나19에 감염됐다"고 소개했습니다.
타오리나 중국 백신 전문가는 글로벌 타임스와 인터뷰에서 "멕시코 사례만으로도 시노팜의 백신은 100% 효능을 보여 백신 후보로서 평가를 받아야 한다"면서 "화이자의 90% 효능 사례는 임상 3상 시험을 바탕으로 했지만, 시노팜은 응급 사용 후 관찰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타오리나는 이어 "화이자의 사례가 학문적으로 더 큰 권한을 갖고 있지만, 후자 역시 통제 연구에 해당한다"면서 "시노팜의 백신을 접종한 5만6천여명이 감염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백신 효능의 참고 자료로 적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 "중국 역시 화이자가 적용한 핵산(mRNA)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이론적으로 핵산 백신은 세포 면역과 항체 면역 모두를 자극할 수 있어 단순한 항체보다 효과가 좋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이 개발하는 불활성화 백신은 장기적 안정성을 위해 영하 70도에서 보관돼야 하는 핵산 백신보다 운반과 보관에 장점이 있다"며 "중국이 개발한 백신이 더 많은 사람을 보호하는 데 사용하기 적합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화이자는 독일 바이오엔텍과 아스트라제네카는 영국 옥스퍼드대와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의 기반 기술별로는 핵산 백신, 합성 항원 백신, 전달체 백신, 불활성화 백신이 있습니다.
핵산 백신은 바이러스의 DNA, RNA 등 핵산을 체내에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이 여기에 해당하고, 중국에서 개발한 세 가지 백신은 모두 불활성화 백신입니다.
브라질, 중국산 '코로나 백신' 맞고 사망자 발생
중국산 코로나19 백신 임상이 진행 중이던 브라질에서 심각한 부작용이 발견돼 시험이 중단됐습니다. 임상 과정에서 코로나 백신을 맞은 참가자 한 명이 사망했기 때문입니다.
9일(현지 시각)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브라질 보건당국은 시노백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의 임상시험을 지난달 29일자로 중단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보건당국은 향후 조사를 거친 뒤 규정에 따라 임상시험 재개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시노백의 브라질 협력사인 부탄탄 연구소의 디마스 코바스 국장은 "임상에 참가한 봉사자 한 명이 사망했지만 백신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시노백 측은 이 사안에 대해 공식적 답변을 내놓고 있지 않습니다.
이번 사건으로 브라질을 비롯한 남미 지역에서는 중국산 백신에 대한 경각심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정부는 중남미 국가들의 제약 산업이 상대적으로 낙후돼 있다는 점을 노리고 브라질을 비롯해, 페루, 칠레, 아르헨티나 등에서 코로나19 백신 공급을 약소하며 대규모 임상시험을 진행해왔습니다.
브라질에서도 중국산 백신 사용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습니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은 소셜 미디어에 "대중에게 배포되기 전에 과학적으로 입증돼야 한다"며 지적한 바 있습니다.
'중국관련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정부는 중국편? 삼성 전세기 못 떴는데 중국정부 감싸 논란 (0) | 2020.11.13 |
---|---|
중국, 시진핑 주석 연내 방한 추진 적극적 (0) | 2020.11.12 |
11일부터 중국 입국절차 한층 더 까다로워져 (0) | 2020.11.10 |
패권경쟁 벼르는 중국 공산당...미 대선 후 신냉전 돌입 (0) | 2020.11.09 |
中 총공세 나선 현대차 그룹, 중국 국제 수입박람회 참가 (0) | 2020.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