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관련 News

중국 코로나 딛고 V자 회복, 미국 추월 얼마남지 않았다?

중국 코로나 딛고 V자 회복, 미국 추월 얼마남지 않았다? 




중국 3분기 성장률 4.9%

V자 반등 나선다

중국 경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를 딛고 V자 반등에 나섰습니다. 1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은 4.9%로 집계됐습니다. 코로나 사태가 시작된 1분기 -6.8%까지 떨어졌다가 2분기 3.2%로 반등한데 이어 이번에 5% 가까이 오르면서 브이(V)자 곡선을 그렸습니다.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되기 전인 지난해 4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6.0%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세계 최초로 경제를 정상화한 나라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강도 높은 봉쇄 조치와 2차 감염 위협이 불거진 가운데 세계의 정책 결정자들은 수요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국의 견조한 회복에 희망을 걸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13일(현지 시간)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4.4%로 내다보며 중국만 1.9%의 플러스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코로나 사태 초기 상황을 은폐해 세계적인 대유행을 초래했다고 비판을 산 중국은 인구 1000만명의 대도시 우한을 전면 봉쇄하는 등 공격적인 대처로 코로나 확산 상황을 통제했습니다. 최근에도 베이징, 칭다오 등에서 환자가 발생하는 등 재확산 우려가 남았지만, 지역 봉쇄와 주민 전수검사 등 강경한 조치로 추가 확산을 억제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소비 활력을 반영하는 소매판매와 9월 증가율도 3.3%를 기록, 시장 전망치 1.6%를 크게 웃돌면서 소비 회복세가 뚜렷함을 알렸습니다. 중국 월간 소매판매는 증가율은 지난 1~2월 -20.5%까지 추락했다가 지난 8월 0.5%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플러스로 돌아섰는데, 이번에 상승폭이 커진 것입니다. 



로이터 통신은 "대량 실직과 소비자들의 재택 선호 탓에 중국의 소매 판매는 뒤처져 있었지만 3분기부터는 분위기가 바뀌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례로 10월 국경절 황금연휴 기간 일평균 소매판매액과 요시업 매출은 작년 국경절 연휴보다 4.9%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중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소비가 차지한 비중이 56%에 달했다는 점에서 소비 회복은 전체 중국 경제 성장화에 큰 의미를 갖습니다. 


中, 2030년 미국 추월 가능할까?

중국 경제가 정상화되는 가운데 미국 경제는 여전히 코로나 충격에 허덕이고 있어 중국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총량을 더욱 빨리 따라잡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IMF는 이번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중국의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이 각각 1.8%, 8.2%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반면 미국은 올해 -4.3%를 기록하고 내년 3.1%에 그칠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IMF의 가정을 바탕으로 계산하면 2021년 중국의 GDP는 15조8000억 달러로 미국의 GDP 21조2000억 달러의 약 75%에 근접하게 됩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당시 중국 GDP는 미국의 31%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왕타오 UBS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는 10년 후인 2030년 미국과 중국의 GDP가 각각 26조6000억 달러, 26조8000억 달러가 되어 GDP 총량 기준에서 중국이 미국을 제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다만 미중 관계가 신냉전이라 불릴 정도로 악화됐고 주요 교역 상대방인 미국과 유럽에서 코로나19 재확산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은 중국 경제에 부담 요인입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여전한 중국 내 고용 불안, 양극화 심화, 가계·기업 부채 증가, 유동성 확대로 인한 주택 가격 상승 문제도 여전히 부담을 주는 요인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