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K 6급 문법 : 是···的
HSK 6급 문법 : 是···的 是···的 어떻게 써야할까? 어떤 동작 또는 행위가 과거에 이미 실현되거나 완성됨을 나타내며, 동작이나 행위가 행해지는 '시간, 장소, 대상, 목적, 방식 등'을 특별히 강조하고 싶을 때, 강조하고 싶은 단어 바로 앞에 是를 쓰고, 맨 뒤에 的를 써서 강조합니다. 【1】 동작이나 행위가 행해지는 '시간, 장소, 대상, 목적, 방식 등'을 특별히 강조하고 싶을 때, 강조하고 싶은 단어 바로 앞에 是를 쓰고, 맨 뒤에 的를 써서 강조하니다. 【2】 是와 的 사이에는 주로 '부사어(=시간사, 전치사구)+동사', '동사+목적어', '부사어+동사+목적어' 등의 형식이 옵니다. 【3】 앞에 这/那가 있을 때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是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EX)他是前天来上海的。→ 他前..
더보기
HSK 6급 문법 : 가능보어, 정도보어, 정태보어
HSK 6급 문법 : 가능보어, 정도보어, 정태보어 지난 포스팅에서 보어가 무엇인지, 그리고 결과보어와 방향보어에 대해 설명드렸는데요, 오늘은 HSK 6급 문법 : 가능보어, 정도보어, 정태보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HSK 6급 문법 : 가능보어, 정도보어, 정태보어 가능보어의 위치와 쓰임이 잘못된 유형 가능보어란 어떤 결과나 상황에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여부를 나타내는데, 동사와 결과보어 or 동사와 방향보어 사이에 긍정일 때에는 得, 부정일 땐 不를 써서 ~할 수 있다(없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가능보어 목적어의 위치는 결과보어나 방향보어와 같습니다. ㉠ 동사 + 得/不 + 결과보어 【1】 주어 + 동사 + 得 + 결과보어。(~할 수 있다) 【2】 주어 + 동사 + 不 + 결과보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