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K 6급 문법 : 가능보어, 정도보어, 정태보어
지난 포스팅에서 보어가 무엇인지, 그리고 결과보어와 방향보어에 대해 설명드렸는데요, 오늘은 HSK 6급 문법 : 가능보어, 정도보어, 정태보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능보어의 위치와 쓰임이 잘못된 유형
가능보어란 어떤 결과나 상황에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여부를 나타내는데, 동사와 결과보어 or 동사와 방향보어 사이에 긍정일 때에는 得, 부정일 땐 不를 써서 ~할 수 있다(없다)의 뜻을 나타냅니다. 가능보어 목적어의 위치는 결과보어나 방향보어와 같습니다.
㉠ 동사 + 得/不 + 결과보어
【1】 주어 + 동사 + 得 + 결과보어。(~할 수 있다)
【2】 주어 + 동사 + 不 + 결과보어。 (~할 수 없다)
→동사/형용사
㉡ 동사 + 得/不 + 방향보어
【1】 주어 + 동사 + 得 + 방향보어。(~할 수 있다)
【2】 주어 + 동사 + 不 + 방향보어。(~할 수 없다)
정도보어의 위치와 쓰임이 잘못된 유형
정도보어란 대부분 동사 뒤에서 得와 함께 동작이나 상태가 어떤 정도나 상태에 이르렀음을 나타냅니다.
1. '동사 +得'뒤에 '정도부사+형용사서술어'를 써서 '매우 ~하다' 또는 '~할 정도로 ~하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2. 동사 뒤에 목적어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한 번 동사를 쓴후에 그 뒤에 ‘得+정도보어'를 써야 합니다. 이 경우 앞의 동사는 생략가능합니다.
3. 만약 소유를 나타내는 '명사나 대명사'가 있다면 목적어 앞에 씁니다.
4. 그 밖에 정도보어의 부정형식은 '동사+得’ 뒤의 형용사 서술어 앞에 부정부사를 써야 합니다.
【2】 주어 + (동사1) + 목적어 + 동사1 + 得 + 정도보어。
【3】 (······+的) + 목적어 + 동사1 + 得 + 정도보어。
→소유를 나타내는 명사/대명사
【4】 주어 + 동사 + 得 + 정도보어의 부정(부정부사不+형용사서술어)。【부정형태】
정태보어의 위치와 쓰임이 잘못된 유형
정태보어란 '서술어+得' 뒤에 주어를 평가하거나, 서술어를 설명 또는 묘사하는 내용이 나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도보어'와 '정태보어'를 모두 정도보어라고 부르지만, 두 형태를 나누어 학습하면 정도보어를 훨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EX)
他们听音乐听得不想吃饭。
그들은 노래를 듣느라 밥도 먹고 싶어하지 않는다.
她长得像妈妈一样漂亮。
그녀는 엄마처럼 예쁘게 생겼다.
热得气都喘不过来。
숨도 쉴 수 없을 정도로 덥다.
他高兴得跳起来。
그는 뛸듯이 기쁘다.
他说得一清二楚。
그는 아주 분명하게 말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보어에 대한 내용이 아직 끝난게 아니라서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 설명하겠습니다~
'중국어 자격증 HSK' 카테고리의 다른 글
HSK 6급 문법 : 동사중첩 (0) | 2020.06.10 |
---|---|
HSK 6급 문법 : 是···的 (0) | 2020.06.03 |
HSK 6급 문법 : 결과보어와 방향보어 (0) | 2020.05.30 |
HSK 6급 문법 : 접속사 종류 정리 (0) | 2020.05.28 |
HSK 6급 문법 : 접속사 (0) | 2020.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