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관련 News

북한도 중국산 백신은 안 받아, "더 심각한 국가에 양보"

 북한도 중국산 백신은 안 받아, "더 심각한 국가에 양보" 


북한이 세계 백신 공동 분배 프로젝트인 코백스(COVAX) 퍼실리티로부터 배정받은 코로나19 백신을 다른 나라에 양보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일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UNICEF) 대변인을 인용해 북한이 이같은 뜻을 밝혔다고 보도했습니다. VOA에 따르면 유니세프 대변인은 "북한 보건성이 국제적으로 백신 공급이 제한되고 일부 국가에서 반복적으로 감염자가 급증하는 상황을 고려해 코백스가 북한에 배정한 백신 297만 회분을 코로나로 심각한 영향을 받는 나라들에 재배정해도 된다는 뜻을 전해왔다"고 했습니다.

 


북한이 언급한 백신 297만 회분은 중국산 백신인 시노백으로 추정됩니다. 지난 19일 에드윈 살바도르 세계보건기구(WHO) 평양사무소장은 "코백스가 북한에 시노백 백신 297만 회분을 배정했다"며 "이 제안에 대한 북한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북한은 중국 시노백 백신의 안전성을 문제삼아 이를 거부했을 가능이 큽니다. 지난 7월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기자간담회에서 북한이 중국산 백신은 불신해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코백스는 앞서 지난 3월 북한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90만 2000회분을 배정하고 5월까지 170만 4000 회분을 전달할 계획이었으나, 역시 부작용 우려 때문에 수용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백신 지원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유니세프 대변인은 "북한 보건성은 수개월 내 코로나 백신을 받을 수 있도록 코백스와 계속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은 지난해 1월 말부터 현재까지 19개월이 넘도록 북중 국경을 철저히 봉쇄하고 있을 정도로 코로나19 방역에 민감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북한 보건성은 북한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단 한명도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