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도 중국 백신은 못 믿어!
북한이 코로나19 백신을 전혀 도입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북한 당국이 일부 백신을 불신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고, 중국 백신은 신뢰하지 않고 있다는 것입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하 ‘연구원’)은 9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북한 정세 브리핑: 쟁점과 포커스’ 주제로 개최한 기자 간담회에서 “북한은 해외 코로나19 백신 도입을 추진 중이나 현재 확보한 것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백신 공동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는 당초 북한에 인도에서 생산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99만2000회분(99만6000명분)을 제공하기로 했었습니다. 이 중 170만4000회분을 지난 5월까지 전달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공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연구원은 “북한은 코백스를 통해 도입할 예정이었던 AZ 백신의 부작용을 우려해 수용을 거부하면서 다른 백신으로의 대체 가능성을 타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최근 북한이 백신 전달을 위한 구호요원의 방북을 거부하는 등 필수 행정절차에 협조하지 않아 코백스의 백신 공급이 지연되고 있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
그렇다고 다른 백신을 공급받기에도 여의치 않은 상황입니다. 북한은 미국이 저소득 국가에 기부할 예정인 화이자 백신 5억회 분 공여 대상에 포함됐지만, 이와 관련한 진전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연구원의 분석입니다.
연구원은 북한이 화이자나 모더나 등 다른 백신을 지원받으려면 보관 온도를 영하로 유지하는 콜드체인(저온유통) 시설이 필요한데, “설사 냉동·냉장 장비를 들여와도 북한의 전력 상황이 불안해 대도시가 아니면 시설 운영이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우방국인 중국·러시아로부터 백신 지원을 받을 가능성에 대해선 “북한이 중국산 백신에 대한 불신으로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 러시아 백신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무상지원을 요구하는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지난 3월 말부터는 해외 주재 북한 외교원과 공관·무역상사 직원 등 해외로 파견된 북한인들은 현지에서 백신을 접종하고 있습니다. 연구원은 “각국에서 알아서 백신을 맞는 것에 대해 북한 당국이 문제 삼지 않고 있어 접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습니다.
'중국관련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가면 격리, 한국오면 면제... 굴욕적 외교에 날선 비판 (0) | 2021.07.13 |
---|---|
홍콩 스타 성룡 "중국 공산당 들어가고 싶어요" (0) | 2021.07.12 |
중국, 한반도 일은 우리 문간 문제, 앞으로도 적극 관여하리 (0) | 2021.07.08 |
중국 미국과 전쟁 대비하나? 전시 징병계획 최초 공개 (0) | 2021.07.07 |
중국 백신 델타도 예방된다고? 중국산 백신에 대한 의구심 (0) | 2021.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