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관련 News

이번엔 英·中 언론전쟁...대체 무슨 일이야?

이번엔 英·中 언론전쟁...대체 무슨 일이야?

 

 

인권 비판 보도 BBC에 맹공 퍼부은 중국

미국과 함께 보조를 맞춰 중국에 대한 압박을 높여가고 있는 영국이 이번에는 중국의 국제 방송 채널 면허를 취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중국 외교부가 최근 영국 BBC 베이징 지국장에 엄중교섭을 제기했다고 5일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중국 외교부는 BBC가 코로나19 관련 방송을 하며 이 문제를 정치와 연결지어 보도했다고 문제를 삼았지만, 속내는 신장 지역 재교육 수용소 여성들의 성폭행 의도에 관한 BBC 보도가 불만인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외교부의 BBC 지국장 엄중교섭 뒤 영국의 방송·통신 규제 당국인 오프콤은 중국 공산당 통제 아래 운영된다는 이유를 들어 런던에 유럽본부를 둔 중국국제TV(CGTN)의 방송 면허를 취소했습니다.

 

'스타 차이나 미디어'라는 유한회사가 CGTN을 보유하고 있지만, 해당 회사는 단순 배급사일 뿐, 프로그램을 구성하거나 의사결정을 내리는 직원이 한 명도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이번 면허 취소 결정과 별도로 CGTN이 홍콩에서 벌어진 민주화 시위를 보도할 때 공정성을 훼손한 혐의에 대한 제재를 추가로 결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CGTN은 중국 관영 중앙(CC)TV의 자회사로 영어 등 외국어로 세계 100여 개국에 방송을 송출하는 채널입니다. 미국은 지난해 CGTN을 독립 언론기관이 아닌 외국 사절단으로 지정해 미국에서 새로운 자산을 취득할 때 사전승인을 받도록 했습니다.


중국 주요 매체들은 중국 신장 재교육 훈련소 여성들에 대한 BBC 보도에 대해 비판을 쏟아내며 당국 조치에 힘을 실었습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여성들에 대한 조직적 강간, 성적 학대, 고문이 있었다는 BBC보도는 근거가 불충분하다. 그런 일을 당하지 않은 여성의 일방적 주장만 담겨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중국과 영국의 언론 갈등은 지난해 3월 미국과 중국 간 ‘언론 전쟁’을 연상시킨다는 평가입니다. 당시 미국은 신화통신과 CGTN, 중국국제방송, 중국일보 등을 외국 사절단으로 지정하는 제재를 가했습니다. 이에 중국은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월스트리트저널 기자 중 기자증 시효가 연내 만료되는 기자들을 대상으로 열흘 이내 기자증을 반납하도록 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