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긋지긋한 "김치 논쟁" 중국정부까지 나섰다
중국 정부까지 나선 '김치 논쟁'…"한중 감정 해쳐선 안돼"
한국 전통 음식인 김치를 놓고 온라인에서 한중간 김치 기원 논쟁이 커지자 급기야 중국 정부가 나서 한중간 감정을 해쳐서는 안 된다며 진화 작업에 나섰습니다.
20일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최근 한중 양국에서 김치 기원 문제를 놓고 논란이 뜨거운 것에 대한 논평을 요구받자 이런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화춘잉 대변인은 "나는 식품 문제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다"라면서 "내가 보기에는 파오차이(泡菜)는 절인 발효식품의 일종으로 일부 소수의 몇 개 나라와 지역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습니다.
화 대변인은 "중국에는 파오차이가 있고 한반도와 중국의 조선족은 모두 김치라고 부른다"면서 "이런 것들은 서로 통하는 데가 있지만 재료나 맛, 요리법 등은 각각 자기만의 특색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각방(각국)은 파오차이 문제를 미식 차원에서 유익하고도 우호적인 교류를 통해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감정을 해치지 않도록 편견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화춘잉 대변인은 지난 1일 브리핑에서도 한중 언론이 김치의 기원을 놓고 논쟁을 벌이고 있는데 대해 "나는 한중간에는 협력과 공유할 게 더 많다고 생각한다"며 한국과 중국의 우호 관계를 강조한 바 있습니다.
한편, 장쥔(張軍) 유엔 주재 중국 대사는 지난 3일 트위터 계정에서 앞치마를 두르고 위생장갑을 낀 채 갓 담근 김치를 들어 올린 사진을 올렸습니다. 그는 김치통을 앞에 두고 엄지를 척 들어 보이기도 했습니다.
지난 9일에는 중국의 전통 문화와 농촌의 일상을 소개하는 동영상으로 유튜브 구독자 1천400만명을 보유한 스타 블로거 리쯔치(李子柒)가 김장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올리면서 '중국음식'(#ChineseFood)이라는 해시태그를 달아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심지어 "김치는 한국 음식"이라고 발언한 한국의 유명 '먹방' 유튜버 '햄지'(Hamzy)의 동영상이 최근 중국에서 돌연 삭제되는 등 한중간 온라인을 중심으로 김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카피왕국 중국의 정도를 모르는 카피정신은 어디까지 뻗어나갈까요. 중국 정부까지 나선 마당에 더이상 이런 논란은 없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중국관련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에서도 "정인아 미안해"...양부모 엄벌 SNS 글 확산 (0) | 2021.01.26 |
---|---|
인구 14억 중국의 대리모 산업의 민낯 (0) | 2021.01.22 |
바이든, 트럼프의 ‘중국 때리기’ 적극 계승… 미·중 갈등 예고 (0) | 2021.01.20 |
다시 고개드는 코로나 '중국 책임론', 미중 신경전 ing (0) | 2021.01.19 |
테슬라에 아낌없는 중국, 무엇을 얻게될까 (0) | 2021.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