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관련 News

서울시내에서 중국 '위챗페이' 사용가능, 언제부터? 득과실?

서울시내에서 중국 '위챗페이' 사용가능, 언제부터? 득과실?

 

 

제로페이 가맹점 27만곳서 중국 '위챗페이' 결제한다

서울시는 28일부터 서울시내 제로페이가맹점 27만 곳에서 중국 모바일 간편결제 '위챗페이'를 사용할 수 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제로페이와 위챗페이 간 QR코드를 연동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앱)을 깔지 않고도 손쉽게 결제가 가능합니다.

 

 

 

 

'위챗페이'는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인 텐센트가 운영하는 대표 간편결제시스템으로 중국 내 월 순수사용자가 8억 명에 달합니다. 현재 전 세계 49개국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특히 제로페이-위챗페이가 연동될 경우 위챗페이가 소상공인 발전을 위해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수수료 정책을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경우 기존보다 인하된 수수료를 가맹점에 제공할 수 있어 가맹점은 결제에 따른 수수료 부담이 줄어듭니다.

 

 

 

 

한국방문 해외관광객 3분의 1인 중국인이 위챗페이를 사용하게 되면 좀 더 많은 소비로 이어 질 수 있어 소상공인들의 실질적인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서울시는 전망했습니다.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1750만 명 중 34.4%인 602만 명이 중국인 관광객으로 1인 평균 1887(약 210만원), 총 12조원이 넘는 소비를 했습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중국 유학생과 노동자도 별도의 카드발급이나 현금인출, 환전 없이 위챗페이만으로 손쉽게 물건을 구매할 수 있어 지역 내 소비 진작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위챗페이는 QR 통합결제가 가능한 해외가맹점 27만 곳을 한꺼번에 확보할 수도 있습니다.

 

 

 

서울시는 이번 위챗페이 연동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아세안국가 대표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도 제로페이가맹점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위챗페이, 한국간편결제진흥원(제로페이 운영기관)은 서면협약을 체결하고 가맹점관리부터 홍보 등 원활한 운영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이들은 중국인이 많이 방문하거나 거주하는 명동, 신촌을 비롯해 이화여대, 홍익대, 건국대, 한양대 등 대학교 인근의 제로페이 가맹점을 대상으로 홍보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서정협 서울시 권한대행은 "제로페이-위챗페이의 연동은 중국 유학생과 노동자, 관광객에게 편리한 소비를, 소상공인에게는 수수료 감소 및 매출증대라는 실질적인 이익을 줄 것"이라며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 제로페이의 결제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