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관련 News

중국 남부 흑사병 의심 환자 발생

중국 남부 흑사병 의심 환자 발생

코로나 이어 흑사병 덮친 중국

중국에서 북부 지역에 이어 남부 지역에서도 흑사병 비상등이 켜졌습니다. 26일 관영매체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북부 네이멍구 자치구에 이어 남부 윈난성에서도 흑사병 의심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보건당국은 윈난성 멍하이현의 쥐에서 흑사병을 확인하고 주민 대상 조사를 진행, 3살짜리 유아가 림프절 흑사병(선페스트)으로 의심된다는 진단을 내렸습니다. 당국은 25일 오후 6시(현지 시간) 기준 아기 1명이 흑사병 의심 진단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병세는 가볍고, 현재 치료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중국에서는 올해 들어 네이멍구 자치구를 중심으로 흑사병이 이어져 2명이 숨지는 등 비상이 걸린 바 있는데 이번에는 거리가 떨어진 남부에서도 의심 환자가 나온 것입니다. 당국은 현정부 소재지에서 차로 3시간 정도 걸리는 시골 마을에서 쥐 3마리 사체를 발견해 조사에 나섰으며 21일 이 지역 들 사이에서 흑사병이 발생했다는 초기 판단을 내렸습니다. 


이후 중국 중앙정부와 윈난성의 전염병 전문가들이 파견됐고 '4급 비상대응' 조치가 발령됐습니다. 당국은 검진·검역 및 발열 환자에 대한 전면조사를 실시하고, 흑사병 의심 환자에 대한 격리·역학조사에 나서는 한편 쥐와 벼룩 박멸 작업을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흑사병은 쥐벼룩에 감염된 들쥐·토끼야생 설치류의 체약이나 혈액에 접촉하거나 벼룩에 물리면 점염될 수 있습니다. 사람 사이에는 폐 흑사병 환자가 기침할 때 나오는 작은 침방울(비말) 등을 통해 전염될 수 있습니다


당국은 "사인 불명 쥐 사체를 만진 적이 있으면 즉시 보건 당국에 보고해달라. 열이 나면 보로 병원을 찾아달라" 고 당부했습니다. 



흑사병=페스트(plague) 역사?

특정지역에 사는 주민들에게 자주 발생하는 질환을 풍토병이라고 하는데요, 이 페스트 풍토병 지역에서 감염된 쥐벼룩이 페스트균을 전파하는 주범입니다. 페스트균이 쥐벼룩에 숨어있다가 사람의 피를 빨아먹을 때 세균이 침투하여 감염이 되는 것이죠. 페스트로 폐사한 야생동물 주변을 벼룩이 기생하다가 우연히 사람에게 옮겨지면서 감염이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흑사병의 역사에 대해 보자면, 봉건제도로 운영되던 중세시대때는 영주(땅의 주인)가 농노(일하는 사람)에게 땅을 주고 그 땅에서 살게 했는데, 대신 농노가 그 땅에서 농사를 짓고 수확을 하면 절반 이상을 가져가는 식이었어요. 도둑놈 심보이긴 하죠? 그런데 어느날부터 이 흑사병으로 농노들이 죽어 나가자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없었어요. 그래서 돈을 주고 사람을 고용하게 되었고, 이때부터 임금을 받으면서 일하는 농민이 생겨나 자본주의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한 시대의 사회구조까지 붕괴시킨 어마어마한 전염병이라고 할 수 있죠.  



흑사병 증상?

감염된 쥐벼룩에 물린 경우 : 물린 자리 근처의 림프절에 통증을 동반한 림프절 부종이 나타나고,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빈맥, 극심한 피로등을 동반합니다.


기침 분비물을 통해 감염된 경우 : 오한을 동반한 발열, 두통, 구토, 쇠약감과 폐렴증세 등이 나타나는데 이때는 증상이 매우 빠르게 진행된다고 합니다. 


흑사병 예방법?

흑사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쥐벼룩이나 야생동물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 흑사병 환자 분비물에 대한 주의와 소독이 필요합니다. 백신조차 예방효과가 충분하지 못해 노출 위험이 높은 종사자에게만 권고되는 사항입니다. 일반인이 할 수 있는 예방법이 실제로 많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페스트균에 감염되어도 2일 이내에 발견해 긴타마이신, 독시사이클린, 스트렙토마이신, 레보플록사신 등의 항생제를 투여하면 개선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치료가 늦어지면 사망률이 크게 높아지죠. 따라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의심증상에 대해서 알고 주의하는 것입니다. 


유행지역 여행 후 발열, 두통, 오한과 같은 페스트 의심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