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통사 필수개념] 컨벤션산업의 개념
오늘은 [관통사 필수개념] 컨벤션산업의 개념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컨벤션산업은 부가가치가 큰 산업으로서 많은 국가들이 주목하고 있는 산업으로 일반 관광 상품에 비해 수익성이 매우 높아 지역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컨벤션산업의 개념?
컨벤션이란 많은 사람들이 특정한 활동을 하거나 협의를 위해 한 장소에 모여서 의견과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활동을 의미하며, 전시회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쓰이는 말입니다.
컨벤션산업이란 컨벤션이 개최되기 위한 조건, 즉 동시통역 시설을 갖춘 대규모 회의장이나 연회장, 전시장 등의 전용 컨벤션(대회 또는 회의) 시설을 갖추고 대규모 국제회의나 전시회를 유치하는 산업을 말합니다.
이 사업은 여행업, 호텔업, 운송업, 항공업, 유통업, 식음류업 등 관련 산업들과 연계성이 높기 때문에 동반 발전을 가져와 회의개최지역의 경제발전이 기대되는 미래형 무공해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서울 COEX, 서울 SETEC, 고양 KINTEX, 부산 BEXCO, 대구 EXCO, 광주 김대중 컨벤션 센터, 대전 DCC, 창원 CECO, 제주 ICC, 경주 HICO 등지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설치된 컨벤션 센터
1) 서울 COEX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한국종합무역센터 내에 있는 종합전시관으로 교통과 통신, 첨단 비즈니스 인프라를 두루 갖춘 글로벌 비즈니스의 메카이자 아시아 최고의 전시·문화·관광의 명소로서 1973년 3월 국제무역과 문화 교류의 장을 마련할 목적으로 개관한 한국 최대의 종합전시관입니다.
2) 서울 SETEC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무역 전문전시장으로 전시사업 활성화를 통해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과 수출증대를 지원하고, 날로 증가하는 국내 전시수요를 적극 수용한다는 취지 아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RTRA)가 1999년 5월 '서울무역전시장'으로 설립 개관하였습니다.
이후 2005년 10월, 서울산업통상진흥원이 인수한 후, 2006년 4월에 컨벤션 센터를 개관하면서 현재의 이름 SETEC으로 변경되었습니다.
3) 고양 KINTEX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에 위치한 전시 컨벤션 센터로 적극적인 국내외 마케팅 활동을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전시회와 컨벤션을 유치·개발하고, 국내외 일류 기업들의 무역 마케팅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4) 부산 BEXCO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에 있는 전시 및 컨벤션 센터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전시회 및 국제회의의 부산 개최를 통한 부산·경남 지역의 국제화, 산업화, 정보화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5) 대구 EXCO :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는 종합 전시센터로 섬유, 기계, 안경, 신재생 E, 첨단디스플레이 등 대구지역의 대표산업 전시행사는 물론, 대규모 이벤트·박람회 등을 개최할 수 있는 전문 전시시설입니다.
6) 광주 김대중 컨벤션 센터 :
광주광역시 서구에 있는 전시 및 컨벤션 센터로 국제 규모의 산업전시회, 박람회, 컨벤션(회의), 이벤트 개최 등을 통해 광주광역시를 국내와 비즈니스의 중심지로 발전시켜 호남권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7) 대전 DCC :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전시 컨벤션 센터로 국내·외 컨벤션 및 방문객의 대전 내 유치와 자원, 컨벤션 및 도시마케팅에 관한 인력 양성사업과 각종 정보수집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8) 창원 CECO :
경남 창원시 의창구에 위치한 국내 최초의 계획도시이자 첨단사업도시로, 이제는 글로벌 환경도시로 도약하고 있는 경남 창원에 위치한 전시·컨벤션 시설입니다. CECO는 코엑스의 전문 서비스와 함께 수 많은 산업전시회, 국제회의, 문화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으며 글로벌 전시·컨벤션 산업의 장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9) 제주 ICC :
제주 서귀포시 중문동에 위치한 국내 유일의 리조트형 컨벤션 센터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고품격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제주지역의 국제회의, 강연, 연회, 이벤트, 전시회, 공연 등을 개최할 수 있는 전문시설입니다.
10) 경주 HICO :
경상북도 경주 보문관광단지 내에 위치한 전시 컨벤션 센터로 센터명칭은 신라시대 합좌제도이 '화백'에서 모티브를 가져왔습니다. 화백은 만장일치에 의한 의결을 원칙으로 하는 합의체회의기구로, 가장 좋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모이고 나누고 소통하는 '컨벤션'의 본질을 잘 보여주는 회의문화입니다.
국제규모의 산업전시회, 박람회, 컨벤션(회의), 이벤트 개최 등을 통해 HICO의 역량을 강화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관통사 필수개념] 컨벤션산업에 대한 개념 정리였습니다. 저는 다음에 또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관광통역안내사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지와 관광단지 지정현황 (2020년) (0) | 2020.08.10 |
---|---|
관통사가 추천하는 관광통역안내사 면접시험 준비방법 (0) | 2020.08.06 |
[관통사 필수개념] 산업적 관광자원이란? (0) | 2020.07.30 |
한국관광공사, 뉴노멀 시대 11대 선도사업 발표 정리 (0) | 2020.07.27 |
관통사 면접대비 '신한류' 개념정리 (0) | 2020.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