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국 관계 썸네일형 리스트형 중국에 줄줄이 물린 한국, 국내 물가 오를수도!!! 중국에 줄줄이 물린 한국, 국내 물가 오를수도!!! 지난달 수입금액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우리나라 최대교역국인 중국의 물가상승이 국내로 전이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며 수입물가 관리에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11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금액지수는 159.29(2015년=100)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12월(123.99)부터 12개월 연속 오르더니 지난달 1988년 통계 편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42.8% 훌쩍 뛰었습니다. 품목별로는 광산품(110.3%)과 공산품 중 석탄·석유제품(169%), 컴퓨터·전자·광학기기(22.1%) 가격이 크게 올랐습니다. 두바이유가 전년 동월 대비 84.9% 상승.. 더보기 中,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사업 승인 "SK그룹 회장 정재계 네트워크 총동원" 中,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사업 승인 "SK그룹 회장 정재계 네트워크 총동원" 중국 당국이 SK하이닉스의 인텔 낸드 사업 인수를 최종 승인한 배경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후방 지원이 한 몫 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SK하이닉스는 22일 우리나라의 공정거래위원회 격인 중국의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으로부터 인텔 낸드 및 SSD 사업 인수에 대한 합병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합병 허가로 SK하이닉스는 한국과 미국, 중국, 대만, 브라질, 영국, 싱가포르, 유럽연합(EU) 등 8개 관할 구역에서 필요한 모든 합병허가를 관련 경쟁당국으로부터 받았습니다. 지난해 10월 인텔 낸드 사업 인수를 발표한 지 14개월 만입니다. 재계에 따르면, 최 회장은 자신의 폭넓은 정재계 네트워크를 활용해 적기.. 더보기 중국 진출 韓기업, 10곳 중 8곳 "차별 받아" 중국 진출 韓기업, 10곳 중 8곳 "차별 받아"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 10곳 중 8곳은 과거에 비해 현지 투자 환경이 악화됐으며 인허가 절차 등에서도 중국 기업에 비해 차별을 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정부가 최근 공동부유 실현을 위한 규제를 강화하며 기업들을 압박하고 있는 만큼 한중 양국 정상회담을 포함한 다양한 외교적 해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중국에 진출한 지 10년 이상 경과한 우리 기업 512곳을 대상으로 ‘최근 10년 중국 내 사업환경 변화’를 조사해 분석한 결과 현지 투자환경 및 규제가 과거에 비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중국 진출 기업을 대상으로 올해 투자환경과 2011년을 비교했을 때 ‘악화됐다(크게 악화 22.1%.. 더보기 文대통령 "한반도 평화, 중국이 기여" 文대통령 "한반도 평화, 중국이 기여" 문재인 대통령이 "그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추진 과정에서 중국의 역할과 기여를 평가한다"고 밝혔습니다. 오늘(15일) 오전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40여분 동안 왕이 중국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을 만나 이같이 말하며 "앞으로도 우리 정부는 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 함께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중국의 변함없는 지지를 바란다"며 "왕이 위원도 한중관계 발전과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 정착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뒷받침해 주는 큰 역할을 해달라"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내년 한중 수교 30주년을 앞두고 더 성숙한 한중관계 미래를 함께 열어나가야 할 시점에 방한에 더욱 뜻깊다"며 "시 주석께도 안부를 전해주시기 바란다".. 더보기 중국, 한반도 일은 우리 문간 문제, 앞으로도 적극 관여하리 중국, 한반도 일은 우리 문간 문제, 앞으로도 적극 관여하리 중국 외교부가 한반도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리라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왕원빈 대변인은 7일 정례 브리핑에서 성 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류샤오밍 자국 한반도사무특별대표 간 첫 통화를 설명하며 "한반도 문제는 중국의 문간에 있다"라고 규정했습니다. 왕 대변인은 "한반도 문제에 관한 중국의 입장은 명확하고 일관적이었다"라고 했습니다. 이어 "중국은 한반도에 지속적인 평화와 안정이 현실화할 때까지 건설적인 역할을 계속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류 대표는 김 대표와의 통화에서 한반도 문제에 관한 자국 입장을 강조하고, 미국의 대북 정책 재검토 결과에 관한 관점을 전달했다고 합니다. 특히 이른바 .. 더보기 한미 정상회담 후, 중국 반응 어째 미지근하다 했더니...?! 한미 정상회담 후, 중국 반응 어째 미지근하다 했더니...?! 한·미 정상회담 이후 중국이 의외로 조용합니다. 지난 5월 21일 문재인·바이든 회담이 끝난 뒤, 중국은 ‘화’를 내는 시늉은 했지만, 그 강도는 예상보다 훨씬 약했습니다. 이번 워싱턴 회담은 지난 4년간 친중(親中)·친북(親北) 노선을 걸어온 좌파 정부가 했다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놀라운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공동성명에는 삐걱거리던 한·미 동맹을 복원하는 내용은 물론 중국이 민감하게 생각하는 대만·남중국해 등에 대한 언급도 있었습니다. 한국의 우파조차 “‘찰떡 동맹’을 강조했다”며 놀라움을 표시했습니다. (2021년 6월 1일 자 조선일보 김대중칼럼 ‘뜻밖의 한·미 동맹 확인서’ 참조) 예전 같았으면 중국은 이런 결과에 강하게 반발하며 ‘보.. 더보기 지긋지긋한 "김치 논쟁" 중국정부까지 나섰다 지긋지긋한 "김치 논쟁" 중국정부까지 나섰다 중국 정부까지 나선 '김치 논쟁'…"한중 감정 해쳐선 안돼"한국 전통 음식인 김치를 놓고 온라인에서 한중간 김치 기원 논쟁이 커지자 급기야 중국 정부가 나서 한중간 감정을 해쳐서는 안 된다며 진화 작업에 나섰습니다. 20일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최근 한중 양국에서 김치 기원 문제를 놓고 논란이 뜨거운 것에 대한 논평을 요구받자 이런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화춘잉 대변인은 "나는 식품 문제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다"라면서 "내가 보기에는 파오차이(泡菜)는 절인 발효식품의 일종으로 일부 소수의 몇 개 나라와 지역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습니다. 화 대변인은 "중국에는 파오차이가 있고 한반도와 중국의 조선족은 모두 김치라고 부른다".. 더보기 '여신강림' 중국제품 PPL 논란, 중국이 K-드라마에 투자하는 진짜 이유? '여신강림' 중국제품 PPL 논란, 중국이 K-드라마에 투자하는 진짜 이유? 한국 편의점에 없는 중국 훠궈 PPL '여신강림' 직구 사이트에서나 볼 수 있는 인스턴트 훠궈를 한국 편의점 야외 테이블에서 먹는 여고생들. tvN 수목드라마 '여신강림' 속 중국 브랜드의 무리수 PPL이 논란입니다. 택배 상자, 버스정류장 광고판까지는 '흐린 눈'으로 모른척 넘어갔던 시청자들도 편의점 야외 테이블에서 인스턴트 훠궈를 먹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에 "이게 한국이 배경인 한국 드라마가 맞냐"며 문제를 제기한 것. 특히 해당 훠궈는 한국에서 보편적으로 판매되는 제품도 아닙니다. 해외 직구 사이트를 통해 2만 원대에 판매됐던 상품. 이 장면 외에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징둥', 한국 길거리에서 보기 힘든 홍등 등 '여신강림..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