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배우, 갓 쓰고 등장하더니 "중국이 원조" 터무니없는 주장
중국이 자국에서 제작한 사극 속 주요 인물에 갓을 씌우고, 자신의 전통문화라는 주장을 했습니다.
중국 배우 오희택(우시쩌)이 자신의 소셜미디어에서 "갓은 중국의 것"이라며 "이런 모자는 우리나라(중국)가 기원이고, 이후 다른 나라로 전해졌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 전통문화가 오해받는 건 못보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오희택이 해당 글을 쓴 이유는 현재 그가 출연 중인 '일편빙심재옥호' 속 갓을 보며 중국 네티즌들이 "이건 한국 전통 모자잖아", "중국 드라마에서 이 모자를 보면 꼭 한국 드라마를 보는 것 같아"라고 지적했기 때문.
이 같은 우시쩌의 글을 본 중국 누리꾼들은 "우리 문화에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한국이 우리한테 배워갔네", "한국은 세상 모든 게 자기네 거라고 하더니" 등의 반응을 보이며 우시쩌의 말에 적극 동조하는 글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중국은 아직도 정신을 못 차렸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한국의 전통 모자인 '갓'이 중국이 원조라고 주장한 중국 배우의 말에 대해 "무식한 발언"이라며 비판했습니다.
서 교수는 오늘(8일) 자신의 SNS에 "중국의 유명 배우인 우시쩌가 최근 자신의 웨이보 계정에 '갓은 중국에서 기원해 다른 나라로 전해졌다'며 사진 한 장을 게시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끈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을 통해 갓이 유명해지자 우시쩌가 부러웠나 보다"라고 운을 뗐습니다.
갓은 한국 남성들의 전통 복식입니다. 조선 시대, 성인 남자가 머리에 쓰던 관모를 뜻합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킹덤' 시리즈를 통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됐습니다. 갓의 세계적인 인기에 올해 10월 김건 주영대사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 신임장을 제정하면서 도포에 갓을 쓰고 알현하기도 했습니다.
갓이 관심을 모으면서 중국은 자신들의 사극 드라마에 한복을 등장시키는 것은 물론 갓까지 등장시켰고, 중국 내에서도 당혹스러운 반응이 흘러나왔습니다.
중국이 한국 문화를 자국 문화라 주장하며 귀속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인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앞서 한복, 김치 등도 자신들의 원조이며 전통문화라는 주장을 펼쳐왔습니다. 중국의 이런 움직임에 '문화 동북공정'이라는 말까지 나왔습니다.
SBS '홍천기' 방영 당시 "한복과 소품, 그래픽효과(CG) 등이 중국 문화를 표절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최근엔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게임'이 세계적인 인기를 끌자 극중 등장했던 초록색 체육복에 대해서도 "우리가 원조"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내년 2월 중국에서 개최되는 베이징동계올림픽 홍보 영상에는 한복과 상모 돌리기, 장구까지 중국 것인 양 등장하며 '올림픽판 동북공정'에 박차를 가하는 모양새입니다.
또 윤동주 시인의 국적을 중국으로 표기하거나, 이순신 장군이 명나라의 신하였다고 주장하는 등 중국의 막가파식 동북공정은 분야를 가리지 않고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진=서경덕 교수 인스타그램, 우시쩌 웨이보, 베이징동계올림픽 홍보 영상 캡처)
'중국관련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시 북한은 중국편? '美 베이징올림픽 보이콧' 중국 입장 두둔! (0) | 2021.12.11 |
---|---|
중국,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에 코로나까지 '내우외환' (0) | 2021.12.09 |
한한령 해제 조짐, 中네티즌 엇갈린 반응 "중국 아이돌, 이러다 다 죽어" (0) | 2021.12.06 |
중국, 남아공발 '오미크론'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이유? (0) | 2021.11.29 |
WHO, 새 변이 ‘오미크론’ 이름 지으며 또 중국 눈치봤다?! (0) | 2021.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