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관련 News

K팝 팬계정 정지, 중국측 해명 "한국 겨냥한 것 아냐"

 K팝 팬계정 정지, 중국측 해명 "한국 겨냥한 것 아냐" 


주한 중국대사관이 최근 중국 정부의 ‘인터넷 정화 운동’이라는 이름의 연예계 단속 움직임이 한류 등 한국을 겨냥한 조처는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중국대사관 쪽은 8일 공개한 입장에서 “최근 중국 정부는 연예계 및 ‘팬덤’의 혼란한 상황을 바로잡기 위해 ‘칭랑(淸朗:중국의 인터넷 정화운동)’ 특별 행동을 벌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국 연예인을 포함한 일부 연예인의 팬클럽 계정이 폐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한국 언론은 중국의 조처가 한국을 겨냥한 측면이 있다고 여긴다며 “중국 정부의 관련 행동은 공공 질서와 양속에 어긋나거나 법률과 법칙을 위반하는 언행만을 겨냥하는 것이지 다른 나라와의 정상적인 교류에 지장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웨이보는 아이유, ‘블랙핑크’의 로제와 리사 등 다수의 한국 연예인 팬클럽 계정에 대해 30일간 정지 조처했습니다.

 

▷ K팝 아이돌 팬클럽 웨이보에 올라온 공지. 중국 정부의 방침에 따라 건전하게 팬 활동을 이끌겠다는 내용이다. 웨이보 캡처.

 


이와 관련해 중국대사관은 중국 연예계 스타들의 “도덕상실 사건들이 빈발”하는 한편 “중국의 인터넷 공간에서의 ‘팬덤’ 문제가 갈수록 불거지고 있”다며 중국 관련 부처가 연예인 데이터 조작과 팬덤 소비 유도를 단속하는 금(지)령과 징계 조처를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 정부가 “‘2021 칭랑 특별 행동’을 전개함으로써 연예계와 팬덤의 비정상적인 문화 현상을 바로잡고자 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대사관이 꼽은 ‘팬덤 문제’로는 팬클럽들 사이의 욕설과 비방, 악의적 마케팅과 미성년자를 포함한 팬들을 상대로 자금을 모아 응원을 유도·강요하는 사례 등입니다.


중국대사관은 “올해는 ‘중한 문화 교류의 해’가 시작되는 해이고 내년은 중한 수교 30돌이다. 중한 우호 협력을 한층 더 발전시키는 것은 시대의 추세와 민심에 맞고 중한 양국의 근본 이익에 부합한다. 우리는 한국 쪽과 문화 교류를 계속 강화하고 긍정적인 에너지가 넘치는 문화 교류 및 협력을 권장하며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문화 교류가 신시대에 중한 관계를 활기차게 발전시키는 원동력으로 양국 관계 및 민심 상통을 촉진하는 데에 힘을 보태줄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주한미군의 사드(THAD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이후 중국 쪽이 취한 경제 보복인 이른바 ‘한한령’(한류 제한령)이 온전히 풀리지는 않은 상태여서 15일 서울에서 열리는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의 회담에 관심이 모입니다. 지난해 11월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양국의 문화 콘텐츠 분야 협력 활성화와 관련한 논의를 한 지 한 달 뒤 중국은 3년9개월 만에 모바일 게임에 대한 자국 내 서비스 허가(판호)를 승인한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한테 “(정화운동이) 한국뿐 아니라 중국 자체 문화산업과 연관된다면 양자 차원에서 우리가 어느 정도까지 관심 갖고 보고 논의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어떤 상황에서도 한-중 간 건전한 문화 교류가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되고 회복, 발전하는 추세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은 한-중 양국 정부가 공감하고 중국대사관 발표도 그런 맥락에서 나온 것으로 이해하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