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관련 News

“신장 위구르 출산율 반토막” 중국 정부, 어디까지 개입할래?

“신장 위구르 출산율 반토막” 중국 정부, 어디까지 개입할래?


인권탄압 논란이 일고 있는 중국 신장웨이우얼(위구르) 지역의 출산율이 2017~2019년 사이 절반으로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전략정책연구소(Aspi)는 신장 지역 출산율이 2017~2019년 사이 48.7%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공개했다고 <가디언>이 12일(현지시각) 보도했습니다. 무슬림 등 소수민족 비율이 90% 이상인 지역의 경우 2018년 출산율이 전년보다 56.5% 줄었습니다. 보고서는 유엔(UN)이 출산 통계를 집계한 71년 동안 르완다나 캄보디아의 집단학살 등을 포함해도 전례를 찾기 힘든 출산율 감소세라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의 개입을 의심했습니다. 2017년 중국 정부의 소수민족 출산 정책이 ‘보상과 격려’에서 ‘강압적인 감시’로 바뀌었고, 실제 이후 허용 한도를 넘어선 ‘불법 출산’에 대해 벌금과 징계 등 강한 처벌이 이뤄졌다는 것입니다. 보고서는 2017년 인구의 97%가 위구르족 등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후난현에서 불법 출산을 한 당원 등 460여명이 처벌을 받았다는 사실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신장 지역 출산율 목표치를 세계 최하위권으로 설정했다는 내용이 담긴 신장의 정책실행 문서도 제시됐습니다.

 

 


앞서 지난해 7월 또다른 연구에서 신장 지역 출산율이 2017~2018년 사이 약 30%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당시 연구 결과를 공개한 아드리안 젠즈 공산주의희생자기념재단 선임연구원은 “중국이 위구르족 여성의 출산을 막기 위해 불임 시술과 임신 중절 등을 강요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시 중국 정부는 “명백한 가짜 뉴스”라고 반박했고, 두 달 뒤 신장 정부는 <시엔엔>에 출생아 수가 줄어든 것을 인정하면서도 “자발적으로 출산이 줄어든 것이며 특정 소수민족을 겨냥해 산아 제한 정책을 수립하거나 시행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신장 지역 위구르족 인권 탄압을 둘러싼 갈등은 국제 분쟁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중국이 ‘제노사이드’를 저지르고 있다고 지속해서 비판하고 있고, 유럽연합도 지난 3월 신장 인권 문제와 관련한 중국 관리들에 대해 제재를 가했습니다. 중국은 가짜 뉴스를 앞세운 내정 간섭이라고 반박하며, 신장산 면화 사용을 중단하겠다고 밝힌 국제 의류 회사 등에 대해 불매 운동도 벌이고 있습니다.